아반디아와 메트포민 병용 투여시 2형 당뇨병 환자의 60% 이상이 혈당 조절목표 달성

서울--(뉴스와이어)--아반디아(rosiglitazone maleate)를 메트포민과 병용 투여한 결과, 당뇨병 환자의 60% 이상이 HbA1c(당화혈색소*) 7% 이하의 혈당조절 목표를 달성했으며, 약 40%의 환자들은 더욱 엄격한 조절목표인 HbA1c 6.5% 이하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6개월 동안 총 1만1014명의 환자를 실제 치료하며 관찰한 이번 연구에서 또한, 아반디아와 메트포민의 병용요법이 당뇨환자의 혈압을 낮추는 데에도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제40회 유럽당뇨병연구학회 (EASD*)의 연례모임에서 발표되었다.

연구를 주도한 크리스토프 호작 박사(독일 프랑크푸르트 작센하우젠병원 대사성질환과)는 “실제 환자치료에서 메트포민과 아반디아를 병용 투여하면 혈당을 국제적으로 권고되는 목표 수준까지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혈압을 낮춰주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이제껏 HbA1c 6.5% ~ 7% 이하로 혈당을 조절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으며 특히 전통적인 단독요법은 장기적으로 혈당을 조절하는데 실패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당화혈색소, 즉 HbA1c는 당뇨환자의 혈당이 지속적으로 잘 조절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전세계 당뇨병기관들은 혈당을 HbA1c 6.5% ~ 7% 이하로 조절할 것으로 권고하고 있다.

현재, 목표치인 HbA1c 6.5% ~ 7% 이하로 혈당을 유지하고 있는 당뇨병 환자는 약 30%에 불과하다. 혈당조절에 실패하는 환자들은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로 인해 조직과 신체기관에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심혈관 질환과 절단, 실명 등의 심각한 합병증에 걸릴 수 있다. 2형 당뇨병은 진행성 질환이므로, 혈당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기간이 길수록 환자가 입는 손상의 정도가 더욱 심해지고 당뇨병을 관리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한편 당뇨병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려면 고혈압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아반디아는 제2형 당뇨병의 근본원인인 인슐린 저항성에 직접 작용하여 혈당 조절을 돕는다. 인슐린 저항성은 심혈관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이기도 한데, 아반디아는 당뇨병과 연관된 심혈관 위험지표들(혈압,8 HDL 콜레스테롤9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주로 간에서 혈당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메트포민과 병용 투여시, 두 약물의 상호 보완적인 작용에 의해 환자들은 보다 엄격하게 혈당조절을 할 수 있고, 그 결과 당뇨병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장기적인 합병증의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트포민에 아반디아를 병용 투여하면 기존 항당뇨제들에서 흔히 나타나는 저혈당(hypoglycaemia)의 위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실제 환자치료에 대한 두 건의 대규모 관찰연구룰 통합 분석한 결과이다. 총 1만1,014명의 환자들이 6개월 동안 아반디아와 메트포민을 병용 투여 받은 결과;

- 6개월이 되자, HbA1c 7% 이하에 이른 환자의 비율이 13.5%에서 63.7%로 늘어남
- 6개월이 되자, HbA1c 6.5% 이하에 이른 환자의 비율이 5.3%에서 38.8%로 늘어남
- HbA1c 평균치의 유의성 있는 감소: 기저치로부터 1.3% 낮아짐 (p<0.0001)
- 공복혈당(fast blood glucose)이 2.6 mmol/L (47 mg/dL) 감소 (p<0.0001)
- 혈압이 기저치인 144/85 mmHg에서 137/82 mmHg로 감소 (p<0.0001)

또한 치료 중 이상반응 또는 중대한 이상반응을 보인 환자들은 거의 없었다(각각 1.3%, 0.4% 보고됨). 부종(0.19%), 간독성(0.06%), 울혈성 심부전(0.04%) 등이 가장 흔한 이상반응에 속한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저혈당의 발생율은 매우 낮았다(0.02%).

<아반디아에 대하여>

아반디아 (성분명 로시글리타존, 제조사 글락소 스미스클라인)는 치아졸리딘다이온(TZD) 계열 또는 글리타존 계열 약물 중 하나로서 국내에는 2000년 출시되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혁신적인 신약으로 평가 받았다.

아반디아는 제2형 당뇨병의 근본원인 중 하나인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IR)에 직접 작용하여 개선시키고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혈당을 조절해 주고, 그 결과 심혈관 질환을 비롯한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해준다.

한편 2004년 4월 국내에 출시된 아반다메트(rosiglitazone maleate/metformin HCl)는 아반디아에 메트포민을 하나로 결합시킨 새로운 당뇨 치료제이다.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고 베타세포의 기능 감소를 막아주는 아반디아와 간에서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진 메트포민이 상호 보완적인 작용을 하며, 특히 저혈당의 발생 위험이 적다. 전세계적으로 제2형 당뇨병 치료에서 발병 초기부터 적극적인 병용요법이 중요해지는 가운데 출시된 아반다메트는 저혈당의 위험을 막아주고 지속적인 혈당조절을 통해 합병증 예방을 가능하게 해준다.

당뇨병에 관한 더욱 자세한 문의는 웹사이트(www.diabetespressoffice.com)를 방문하기 바란다.


1. Rosak C, Petzoldt R, Stammer H et al. Rosiglitazone plus metformin is effective and safe in daily practice. Presented at 40th EASD Congress 2004.
2. Saydah SH, Fradkin J, Cowie CC. Poor control of risk factors for vascular disease among adults with previously diagnosed diabetes. JAMA 2004;291:335-342.
3.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KPDS 33). Lancet 1998;352:837-853.
4.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Tight blood pressure control and risk of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es (UKPDS 38). BMJ 1998;317:703-713.
5.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Diabetes Care 2004;27(Supplement 1).
6. Gerich JE. Redefining the clinical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matching therapy to pathophysiology.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2002;32 (Supplement 3):46-53.
7. Nesto RW. The relation of insulin resistance syndromes to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eviews in Cardiovascular Medicine 2003;4(Supplement 6):S11-S18.
8. St John Sutton M, Rendell M, Dandona P et al.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rosiglitazone and glyburide on cardiovascular function and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2;25:2058-2064.
9. Freed MI, Ratner R, Marcovina SM et al. Effects of rosiglitazone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torvastatin on the metabolic abnormalitie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2;90:947–952.
10. Metformin (Hydrochloride). Therapeutic Drugs, Colin Dollery 2nd Edition, M77-M81. Harcourt Brace, 1998.
11. Fonseca V, Rosenstock J, Patwardhan R et al. Effect of metformin and rosiglitazone combin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0;283:1695-1702.
12. Cobitz A, Ryan C, Rood J et al. Benefits beyond glycaemia of adding rosiglitazone rather than glibenclamide to metformin monotherapy in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ologia 2003;46(Supplement 2):A289.

<제2형 당뇨병이란?>

전세계적으로 약 1억 9400만명이 앓고 있는 제2형 당뇨병(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은 진행성 및 만성 질환으로 종종 환자의 사망을 유발하는 심각한 질환이다. 세계당뇨병협회 (IDF)의 전망에 따르면, 2025년까지 전세계적으로 3억 3300만 명의 인구가 당뇨를 앓게 될 것으로 추정된다. 제2형 당뇨병을 진단할 때에 흔히 혈중의 높은 포도당(또는 당) 수치가 지표가 된다. 그러나 당뇨병은 고지혈증을 비롯한 대사 이상과 비만 등의 여러 위험인자들이 동반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고혈당이 당뇨병의 특징적인 증상이기는 하지만,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과 베타세포의 기능 이상(β-cell dysfunction)이 당뇨병의 근본원인으로 고려된다.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과 베타세포 기능 이상(β-cell dysfunction)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

혈중 포도당 수치는 췌장의 베타세포(β-cells)에서 생성되는 인슐린이라는 체내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인슐린은 혈액 내의 포도당을 세포 속으로 이동시켜 에너지원으로 활용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우리 신체가 체내에서 생성된 인슐린에 적절히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로, 그로 인해 고혈당이 유발된다.

처음에 인슐린 저항성이 나타나면 췌장의 베타세포는 더 많은 인슐린을 생성해 이를 보충하려고 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베타세포가 고갈되고 더 이상 효과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일부 환자들에서는 베타세포의 기능 이상을 유발하는 사전 위험요소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제2형 당뇨병이 진행됨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과 베타세포 기능부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혈당을 조절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어떤 사람이 제2형 당뇨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가?>

비록 제2형 당뇨병의 정확한 발병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 가지 위험인자들은 규명되었다. 제2형 당뇨병은 35세 이상 성인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병되지만, 점차 젊은 세대에서도 발병하고 있다. 신체활동의 감소나 인종/민족 등의 요인도 제2형 당뇨병 발병의 흔한 위험인자이다. 또한 가족력에 의한 발생 사례도 많아 유전적 소인이 중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제2형 당뇨병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 >

제2형 당뇨병은 종종 특별한 증상 없이 천천히 진행된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이 제대로 진단 받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다가, 심혈관 질환과 같은 당뇨병성 합병증으로 의사를 찾을 때에야 비로소 자신에게 당뇨병이 있음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당뇨병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다갈, 다뇨, 피로감, 잦은 감염 또는 상처가 잘 낫지 않음, 시야가 흐려짐, 손발이 따끔거리거나 감각이 없어짐 등이 있다.

<제2형 당뇨병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가?>

고혈당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혈관과 신경세포가 손상되므로, 제2형 당뇨병은 여러 가지 심각하고 장기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세혈관이 손상되면 실명, 신부전, 절단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며, 더 큰 혈관이 손상되면 심장질환, 고혈압, 뇌졸중 등의 대혈관계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80% 이상이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

<당화혈색소(HbA1C)란 무엇인가?>

지속적인 혈당조절은 당뇨병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당뇨병성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는데 필수적이다. 매일 혈당 수치를 모니터링 하는 것 외에도, 제2형 당뇨환자들은 일년에 2~3번씩 당화혈색소 (HbA1C: glycosylated haemoglobin) 검사를 받는다. 당화혈색소 테스트는 환자가 지속적으로 혈당 관리를 잘 하고 있는지를 체크하고, 장기적인 당뇨병의 관리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당화혈색소 6.5% 또는 7% 이하로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것이 목표이다. 현재, 당뇨환자의 약 60%가 이 같은 혈당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에 처해 있다.

<지속적인 혈당 조절이 왜 중요한가?>

제2형 당뇨환자들 중 혈당조절에 실패한 환자들은 심장질환, 뇌졸중, 신장질환, 실명 등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단기간이라 할지라도 고혈당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UKPDS(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의 역학연구에 의하면, 당화혈색소 수치가 1% 증가할 때마다 미세혈관계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37% 증가하며, 당뇨병과 관련된 엔드포인트(endpoint)는 21%, 당뇨병과 관련된 사망률은 21%까지 증가한다.

한편 혈당 조절이 개선되면, 당뇨병 환자의 눈과 관련된 질환의 발병 위험이 21%, 조기 신장손상의 위험이 33%까지 낮아진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160명의 제2형 당뇨환자들에서 전통적인 치료요법에 비해 엄격한 치료요법을 사용하는 것이 당뇨병성 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50%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형 당뇨병은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가?>

현재 많은 의사들이 “순차적인 접근법”(stepwise approach)을 사용해 제2형 당뇨환자들의 혈당 수치를 조절하려고 한다. 순차적인 치료 접근법에서는 환자의 생활습관을 고치게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단독요법으로 처방하는 치료로, 그 이후에 필요하다면 약물의 병용치료로 옮겨간다.

이러한 치료법의 단점은 각 치료 단계를 거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점이다. 또한 제2형 당뇨가 진행성 질환임을 고려할 때 환자가 질환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기간이 길수록 더 심각한 손상을 입게 되고 혈당 조절이 더 어려워진다. 전통적인 단독요법과 달리, 인슐린 저항성과 베타세포의 기능 이상이라는 당뇨병의 중요한 위험인자들에 직접 초점을 맞춘 치료법이 장기적인 당뇨병 관리에 필수적임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들도 나와 있다.

새로운 연구들에 의하면, 환자 사망의 원인이 되는 합병증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최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당뇨병의 근본원인(인슐린 저항성과 베타세포의 기능이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보완적인 작용을 하는 병용요법의 조기 도입을 포함한 보다 적극적인 치료 접근법이 요구된다. 다행히, 인슐린 저항성에 직접 작용하며, 전통적인 치료제들과 병용될 때 상호 보완적인 작용기전을 갖는 새로운 치료제들이 있다. 예를 들어 글리타존 계열의 약물이 있는데, 지속적으로 혈당 조절을 개선시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들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References:

1.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Diabetes Factsheets. www.idf.org/home/index.cfm?node=264; www.idf.org/home/index.cfm?unode=3B96844A-C026-2FD3-87E85FD2293F42E9.
2. Florence JA et al.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merican Family Physician. 1999;59:2835-2844, 2849-2850.
3. Kahn SE. The Importance of the beta-cell in the pathogenesi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00;108(Supplement 6a):S2–S8.
4. Groop LC. Insulin resistance: the fundamental trigger of type 2 diabetes.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1999;1(Supplement 1):S1-S7.
5. Overview of the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The Diabetes Trials Unit, Churchill Hospital, Oxford, UK. www.dtu.ox.ac.uk/index.html?maindoc=/ukpds/results.html.
6.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Group.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KPDS 33). The Lancet 1998;352:837-853.
7. American Heart Association. Retrieved on April 29 2004. www.americanheart.org/presenter.jhtml?identifier=1063.
8.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Resources. Retrieved on April 28 2004. www.diabetes.org/type-1-diabetes/a1c-test.jsp.
9. Pooled Guidelines from Canadian Journal of Diabetes 2003; 27(Supplement 2):S18–S20 / Diabetic Medicine 1999;16:716–730 / Diabetes und Stoffwechsel 2002;11(Supplement 2) / National Institute for Clinical Excellence. Clinical guideline G.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management of blood glucose. 2002 / Diabetes Care 2004;27(Supplement 1):S15–S34 / Endocrine Practice 2002;8(Supplement 1):40–82.
10. Koro CE et al, Glycemic control from 1988 to 2000 among US adults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4;27;1:17-20.
1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Resources. Retrieved on April 28 2004. www.diabetes.org/type-2-diabetes.jsp.
12.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Group. Association of glyca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5):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J 2000; 321:405-412.
13. Gæde P et al. Multifactorial interven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NEJM 2003;348:382-393.
14. Kobayashi M. Effects of current therapeutic interventions on insulin resistance.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1999;1(Supplement 1):S32–S40.
15. Gerich JE. Redefining the clinical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matching therapy to pathophysiology.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2002;32(Supplement 3):46-53.


연락처

02-709-422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