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검색폼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뉴스
서비스
교육
블로그
언론 서비스
보도자료 등록
고객센터
English
MY뉴스
회사 소개
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언론 서비스
보도자료 등록
고객센터
English
뉴스
서비스
교육
블로그
통합검색
보도자료
사진
동영상
기업
전시회
FAQ
취소
기업 검색
로그인
회원 가입
전체
IT
건강
경제
교육
금융
라이프
레저
문화
미디어
부동산
사회
산업
유통
자동차
환경
신상품
상장기업
사진
동영상
기업 뉴스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서울
대학교
https://eng.snu.ac.kr/
더보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글로벌 산업과 사회의 지도자 육성을 목표로 나아가고 있다.
뉴스 구독하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뉴스
서울대 공대 이태우 교수팀, ‘영화처럼 화면 자유자재로’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개발
SF 영화 속에 등장하는 자유자재로 휘거나 접히고 피부에 부착해 사용할 수도 있는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한 걸음 가까워질 전망이다. 서울대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을 적용한 신축성 색 변환 층을 개발해 성공적으로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연구로 차세대 스트레쳐블 발광소자 개발을 앞당
2020년 7월 30일
14:29
서울대 박남규 교수팀, 컴퓨팅 시대 이끌 빛으로 동작하는 격자 매질 개발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광학/양자 컴퓨팅 실용화를 위한 원천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서울대 공대(학장 차국헌)는 전기정보공학부 박남규 교수 연구팀이 동작 조건과 공정 에러에 강하면서도 광학적 상태를 쉽게 변조할 수 있는 새로운 광 매질 설계 기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새로운
2020년 7월 30일
14:25
서울대 공대, LG화학과 DX 산학협력센터 설립 협약식 개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 LG화학과 손잡고 디지털 전환을 위한 산학협력의 새 지평을 연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29일 오전 디지털 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서울대-LG화학 DX 산학협력센터’ 설립 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진행한 협약식에는 서울대 차국헌 공과대학학장
2020년 7월 29일
14:09
서울대 공대 이병호 교수팀, 전기 변색 기반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소재 개발
서울대 공대(학장 차국헌)는 이병호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정택동 화학부 교수, 선호정 군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이 전기 변색 물질인 산화텅스텐 나노 박막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생산 비용과 소모 전력을 줄이고 보다 더 얇은 디스플레이 개발 가능성에 한 발 다가선 연구 결과다. 전기 변색은 전압에
2020년 7월 16일
13:31
서울대 산학협력단, 소재·부품·장비 중견강소기업 미래가치 창출에 앞장
서울대학교(총장 오세정)가 소재·부품·장비 중견강소기업의 미래가치 창출 지원에 앞장선다. 서울대 산학협력단(단장 윤의준 교수)이 소재·부품·장비 혁신 산업 생태계 조성의 첫 발걸음으로 모빌리티(자동차) 산업 분야를 이끄는 대표 중견강소기업인 코리아에프티, 아진산업, 화신, 프라코, 아모텍, 남양넥스모, TSR과 미래가치 창출 지원사업을 위한 연구 계
2020년 7월 8일
13:19
서울대 이태우 교수팀, 획기적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장수명 발광 다이오드 LED 개발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 연구팀(김호범 박사, 김주성 연구원, 허정민 연구원)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각광받을 발광 다이오드(LED)를 개발했다. 3D-2D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발광체로 적용한 이 LED는 기존 30분에 불과한 수명을 획기적으로 13시간 이상 연장시키고 실제 사물과 가장 유사한 천연색의 이미지를 구현해낼 수
2020년 7월 7일
11:00
서울대 공대 김건희 교수팀, 인공지능 챌린지 3개 대회서 우승
서울대 공대 컴퓨터공학부 김건희 교수팀과 이 연구실이 창업한 스타트업 리플에이아이가 최근 세계적 규모의 인공지능 챌린지 3개 대회에서 우승하고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리플에이아이는 온라인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 형식(자연어, 사진, 동영상, 이모티콘 등)의 고객 데이터를 이해하고 반응을 이끌어 내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하는 회사다.
2020년 7월 1일
13:06
서울대 공대 박정원 조교수, 한성과학상 수상자로 선정
서울대 공대 화학생물공학부 박정원 조교수가 제3회 한성과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성과학상은 한국의 노벨상 수상자 배출을 염원하며 한성손재한장학회가 제정한 것으로 2018년부터 화학, 물리학, 생명과학 분야에서 독창적 연구를 하는 젊은 과학자를 선정하고 있다. 한성손재한장학회(이사장 손명아)와 한성과학상 심사위원회는 6월 25일 박정원 조교수와
2020년 6월 30일
09:37
서울대 공대, 오목형 옥상 텃밭서 제7회 도시농부들의 감자 수확 잔치 진행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오목형 옥상 빗물 텃밭에서 지역주민들과 학생 등이 키운 감자를 수확하는 행사가 6월 20일 진행됐다. 수확한 120kg의 감자는 서울시 관악구 독거노인 가정에 기부하며 따뜻한 마음까지 나눌 예정이다. 감자를 수확한 오목형 옥상 텃밭은 일반적인 옥상 녹화와 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다. 테두리를 만들어 벽을 세우고
2020년 6월 29일
14:50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김정호 학생, 미국 토목학회 학생논문 대회 1등 수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은 건설환경공학부 석박통합과정 김정호 학생이 5월 28일 美 토목학회(ASCE) Engineering Mechanics Institute(EMI)의 Probabilistic Method Committee가 개최한 국제 학생논문 경진대회에서 1등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 ASCE EMI 학술대회는 매년 150여 개의
2020년 6월 23일
09:49
서울대 공대, 블록체인 인재 양성 위한 첫걸음 내디뎌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이 올해 1학기에 첫 개설한 블록체인 기술 및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실습 프로젝트 과목(‘블록체인의 실무응용1’)을 6월 16일 최종 온라인 발표와 시연회로 마무리했다. 서울대 공과대학 공통 교과목으로 개설된 이 강좌는 학생(학부/대학원), 교수, 기업, 그 밖의 블록체인 전문가 참여로 이뤄졌다. 블록체인 기술은
2020년 6월 23일
09:47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제5회 EPM 콩그레스’ 개최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원장 차국헌, 공과대학 학장)이 12일 공과대학 엔지니어링프로젝트매니지먼트(EPM) 과정과 공동으로 ‘제5회 EPM 콩그레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감염병 예방을 위해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미국 조지워싱턴대와 일본 규슈대 등 관련 전문가 참여로 성황리에 개최된 이 행사는 한 달간 누구나 무료로 다
2020년 6월 19일
08:58
서울대 공대 전병곤·이영기·윤성로 교수, 마이크로소프트와 공동연구 프로젝트 수행 예정
서울대학교(총장 오세정) 컴퓨터공학부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진이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역량을 보유한 마이크로소프트 아시아 연구소(Microsoft Research Asia, MSRA)와의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0년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 사업 ‘글로벌 기업 연계형’ 과제로 추진됐고 M
2020년 6월 18일
11:24
서울대 공대-해동과학문화재단, SNU 해동 주니어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온라인 시상식 진행
서울대학교 공대(학장 차국헌)는 6월 12일 10개의 SNU 해동 주니어 스타트업 기업을 선발해 1차로 총 7500만원의 사업 지원금을 수여하는 시상식을 진행하였다. 서울대 공대와 해동과학문화재단은 2019년 7월에 창업 활동 활성화를 위한 ‘SNU 해동 주니어 지원 프로그램’ 협약식을 진행한 바 있다. 이 협약을 통해 해동과학문화재단은 매년 2억원을
2020년 6월 18일
10:53
서울대 여재익 교수팀, 대기 중 바이러스 실시간으로 밝힐 기술 개발
서울대 공대 기계항공공학부 여재익 교수 연구팀(양준호 박사과정, 정재헌 석사과정)이 전기 유도 분광법을 적용한 실시간 대기 성분 분석 장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NASA 화성표면탐사선에 활용된 기술을 응용해 입자표면의 성분, 농도, 발생원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기술로 발전시켰으며, 특히 대기 중 바이러스와 같은 초미세입자의 실시간 농도를 측정할 수
2020년 6월 16일
09:10
서울대 연구팀, 그래핀 구조 결함 정상화 시킬 매개 원자 발견
서울대학교 신소재공동연구소 이건도 연구교수와 재료공학부 윤의준 교수, 주영창 교수 팀은 대표적인 이차원 물질인 그래핀에서 물질 내에 존재하는 구조 결함(structural defect)을 빠르게 정상 구조로 변환시키는 매개원자(mediator atom)의 존재와 역할을 규명하였다고 11일 밝혔다. 육각형의 완전한 그래핀 구조를 형성시켜 전기전도성과 같은 물
2020년 6월 11일
11:05
서울대 공대 김성재·한림대 성건용·포스텍 윤건수 교수팀, 선택적 이온 수송 직접 가시화 기술 세계 최초 개발
나노 다공성 막 내부에서 전해질 내 이온이 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됨을 플라즈마 발광 특성을 이용하여 이온들의 이동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다.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김성재 교수팀, 한림대학교 미래융합스쿨 융합신소재공학전공 성건용 교수팀과 포스텍 물리학과 윤건수 교수팀의 공동 연구진은 이온-플라즈마 에너지 전이
2020년 6월 2일
15:36
서울대 공대 강유 교수팀, PAKDD 최우수 논문상 수상
서울대 공대는 컴퓨터공학부 강유 교수팀(구본헌 석사, 전현식 박사과정 학생)이 데이터마이닝 분야 국제 우수 학회인 PAKDD(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2020에서 최우수 학생 논문상(Best Student Paper)을 수상했다고 2일 밝혔다. 올해 24번째로 개
2020년 6월 2일
15:05
서울대 공대 홍성걸·김병기·박희재 교수, 2020년 훌륭한 공대 교수상 수상자로 선정
서울대 공대는 2020 훌륭한 공대 교수상 수상자로 건축학과 홍성걸 교수 교수(교육상), 화학생물공학부 김병기 교수(학술상), 기계공학부 박희재 교수(산학협력상)를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시상식은 5월 27일 서울대 공대 38동에서 진행됐다. 훌륭한 공대 교수상은 서울대 공대 교수들의 연구 활동을 진작하고 산업기술의 선진화에 기여하기 위해 1992
2020년 6월 2일
15:01
서울대공대, ‘자랑스러운 공대동문상’ 시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은 국가발전에 기여한 동문들을 대상으로 매년 자랑스러운 공대 동문을 선정해 왔다. 엄격한 심사를 거쳐 2010년 국내활동부문에 (주)한국해사기술 신동식 회장, 한서대학교 안동만 교수, (주)STX에너지/STX중공업 이희범 회장, 해외활동 부문에 미시건대학교 이재승 교수를 선정하여 6월 16일 서울대 엔지니어하우스에서 시상식을
2010년 6월 16일
15:26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미국 암반공학협회 연구상 수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민기복 교수가 2010년도 미국 암반공학협회 (American Rock Mechanics Association, ARMA) 사례연구상 (Case History Award)의 공동수상자로 결정되었다. 이 상은 암반공학 연구내용 중 산업계에 즉각적인 응용이 가능한 실용성이 높은 논문에 대하여 매년 수여되며 시상식은 오는 6월
2010년 6월 15일
11:06
서울대 공대 김호영 교수, 세상에서 제일 작은 도자기를 만드는 기술 네이처에 소개
머리카락 지름의 10만분의 1 수준인 나노(10억분의 1미터) 크기에서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이 있다. 그 주인공은 바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김호영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이다. 이렇게 작은 도자기는 사람의 손으로 만드는 것은 물론이고 눈으로 볼 수도 없기 때문에 이런 도자기를 만들 수 있다고 말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믿지 않으려고 한다. 나노스
2010년 6월 7일
09:55
서울대공대 여명준 씨, SIS 글로벌포럼 최우수 논문상 수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여명준 학생(지도교수: 최종근)의 발표논문이 SIS(Schlumberger Information Solution) 글로벌 포럼의 학생발표부문에서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SIS 글로벌 포럼은 세계적인 석유 서비스회사인 슐럼버저(Schlumberger)가 매 2년마다 주최하는 국제적인 포럼으로서 석
2010년 5월 3일
09:46
솔리드웍스, 서울대공대에 설계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지원
3D CAD(Computer Aided Design)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다쏘시스템 솔리드웍스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에 2,000시트의 솔리드웍스 3D CAD 솔루션 라이선스를 교육용 총판 대리점인 한국델켐㈜(대표:정찬웅)을 통해 공급한다. 이에 4월 7일 서울대학교에서 한국델켐(주) 정찬웅 사장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강태진 학장 및 관
2010년 4월 7일
08:30
한일 첨단 공학기술 교류의 장, 해동일본기술정보센터 개관
2010년 3월 3일 오전 11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35동 멀티미디어강의실에서 해동일본기술정보센터 개관식이 진행되었다. 이날 행사에는 기부자인 (주)대덕전자 김정식 회장과 시게이에 도시노리 일본대사, 이장무 서울대총장, 강태진 공과대학장 등 대내외 여러 인사들이 참석하였다. ‘해동일본기술정보센터’는 1956년 서울대공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김정식
2010년 3월 3일
12:58
서울대 공대, 생체 신장 모사 칩 개발
신장은 우리 몸의 생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고 노폐물을 제거해주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신장은 약 백만 개의 네프론이라고 하는 기능적 단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루 약 180 리터의 물이 신장을 통과한다. 신장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부종, 고혈압, 요독증, 신부전, 신장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
2009년 12월 28일
10:11
인텔, 서울대공대에 강의 개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과 인텔은 10일 인텔아카데믹프로그램(Intel Academic Program)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향후 멀티코어 아키텍처와 병렬 프로그래밍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지원하는 협력 활동 및 공동 프로젝트를 개발하기로 하였다. 최근에 인텔이 발표한 48 코어 실험용 CPU에서 볼 수 있듯이, 멀티코어는 앞으로
2009년 12월 10일
10:38
생체모방 인공심장조직 개발
스스로 쉬지않고 열심히 일하는 심장, 아무 불평없이 평생 뛰고있는 심장은 참으로 고마운 존재이다. 한 사람의 일생동안 심장은 39억번 이상 (하루 평균 100,000 회) 의 박동을 하며 하루 평균 7,500 리터 정도의 혈액을 뿜어낸다고 한다. 근래 심장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는데 심장질환은 현재 선진국 사망원인 1위,
2009년 12월 7일
10:29
서울대공대 조성준 교수, 한국BI데이터마이닝학회 회장으로 선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 산업공학과 조성준 교수는 지난 13일 서울대에서 개최한 한국BI데이터마이닝학회 추계학술대회 겸 정기총회에서 차기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데이터마이닝은 기업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부가가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써, 이 학회는 2000년 출범한 이래 산업공학, 전산학, 통계학, 경영학 등
2009년 11월 16일
11:29
서울공대, 신양공학학술상 시상식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은 10월 21일 12시, 서울대학교 엔지니어하우스에서 신양공학학술상 시상식을 가졌다. 이 상은 서울대 공대 동문인 태성고무화학(주)의 창업자인 정석규(鄭晳圭, 81) 신양문화재단 이사장이 모교의 젊은 교수들을 위해 제정한 상이다. 정 이사장의 호를 따 ‘신양공학학술상’으로 명명한 이 상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직 교수 중
2009년 10월 21일
13:59
재미교포 고광국·김국화 부부, 10만불 쾌척
30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에 추석을 앞두고 특별한 손님이 찾아왔다. 50년전 서울대 공대를 졸업한 노(老) 부부가 강태진 학장을 찾아와 우수한 기술인력을 키우는데 써 달라며 10만불 짜리 수표를 한 장 건넸다. 노(老) 부부는 미국에서 윤활유 전문제조회사인 Chrysan Industries, Inc를 운영하고 있는 고광국 회장과 김국화
2009년 9월 30일
10:39
서울대공대, ‘자랑스러운 공대동문상’ 시상
서울대 공대(학장 강태진)는 국가발전에 기여한 동문들을 대상으로 매년 자랑스러운 공대 동문을 선정해 왔다. 엄격한 심사를 거쳐 2009년에는 김윤근, 최창근, 김정빈, 고광국, 김국화 다섯 분을 자랑스러운 공대 동문으로 선정하여 4월 29일 서울대 엔지니어하우스에서 시상식을 거행하였다. 자랑스러운 공대 동문상은 1993년부터 서울대 공대를 졸업한 동문
2009년 4월 29일
11:19
서울대공대 박용태 교수, 기술혁신경영분야 세계 1% Top Class 연구자로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 산업공학과 기술경영연구실을 이끄는 박용태 교수가 기술혁신경영(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분야의 세계 50대연구자로 선정되었다. 세계적인 학술지 발행 기관인 Elsevier와 기술경영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 기관인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Manag
2009년 4월 15일
11:08
서울대 공대, 4월 15~16일 빗물모으기 국제워크숍 및 수원 물 포럼 개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의 빗물연구센터, 수원시, ICLEI한국사무소, 농촌진흥청의 공동주최로 2009년 4월 15일(수)부터 16일(목)까지 2일 동안 RainCity 수원시청 대회의실에서 제 8회 빗물모으기 국제워크숍 및 제 3회 수원 물 포럼(The 8th International Workshop on Rainwater Harvesting a
2009년 4월 13일
17:46
게코도마뱀 발바닥 섬모, 나노기술로 완벽 모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 기계항공공학부 서갑양 교수와 화학생물공학부 문상흡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분자 나노구조물의 경사각도와 계층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새로운 개념의 건식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결과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지금까지 나노크기의 구조물을 형
2009년 3월 17일
14:29
서울대공대, 발전공로상 시상식 개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은 3월 11일 12시, 서울대학교 엔지니어하우스에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발전공로상 시상식을 가졌다. 서울대 공대 발전공로상은 1989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20번째이며 공과대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자를 대상으로 매년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이번 발전공로상 수상자로 황창규 삼성전자 前사장과 이종호 삼호개발 회장을 선정하였
2009년 3월 11일
10:45
기후변화 C40 정상회의 관련 국제 대학생 경진대회 개최
올해 5월 서울시에서 개최되는 세계 기후변화 C40 정상회의(www.c40seoulsummit.com)와 관련하여 4개 대학 (서울대, 고려대, 일리노이대, 홍콩과학기술대) 공동주관으로 국제 과학경영기술 대학생 경진대회를 5일부터 9일까지 서울에서 개최한다. 국제 과학경영기술 대학생 경진대회는 한국, 미국, 중국(홍콩) 3개국의 4개 대학에서 각 학교
2009년 1월 5일
15:21
서울대공대, 국제 포스터 경진대회 개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은 12월 23일 교내에서 국제 포스터 경진대회를 개최하였다. 이 대회는 국제화를 지향하는 서울대 공대가 이번에 처음 개최한 대회로 공대에 재학 중인 학부 및 대학원 학생들이 한 해 동안의 연구 성과를 포스터로 제작하여 발표하고 평가받는 행사였다. 특히 공대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들이 대거 참여하여 좋은 연구 성과들을 발표
2008년 12월 24일
13:08
서울대공대, 한전KPS와 협약 체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은 11월 24일(월) 한전KPS(주)와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하였다. 서울대는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교과과정을 개설하고 학위를 수여할 수 있도록 이번 봄에 학칙을 개정하였고 그 이후 산학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에 협약을 체결한 한전KPS(주)는 세계정상의 종합플랜트 서비스 회사로 2008년 품질경쟁력 우
2008년 11월 24일
11:38
서울대공대 이건우 교수, 일본 기계학회 공적상 수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의 기계항공공학부 이건우 교수가 일본 기계 학회가 수여하는 ‘설계공학 및 시스템 부문’의 공적상을 수상하였다.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이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의 원장인 이건우 교수는 일본 기계 학회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설계 공학 및 시스템 부문에 관한 기여도를 인정받아 <제 18회 부문상 공적상>을 수여받게 되
2008년 11월 19일
10:50
국내연구진, 저가(低價)로 생산가능한 연료전지 원천기술 최초 개발
현재 수소연료전지차를 생산하는 데 수억원 정도 든다. 이렇게 비싼 이유는 연료전지에 비싼 백금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백금은 전기를 만드는 촉매제로 연료전지는 이 정밀가공한 얇은 백금전극 수십 층을 포개서 수백V의 전기를 얻는다. 또한 백금 수명이 길어야 3년이기 때문에 연료전지에서 백금을 대체할 물질을 개발하면 노벨상을 받게 될 것이라는
2008년 11월 18일
11:39
서울대공대, International Scholars' Night 개최
11월 18일(화) 저녁 6시, 호암교수회관에서는 공대 외국인 구성원과 그 가족들이 모두 어우러져 함께 노래하며 즐거워하고 있다. 서울대 공대 주최로 2006년부터 매해 개최되는 “International Scholars' Night” 행사의 모습이다. 올해 행사에는 외국인 학생과 교수 그리고 가족은 물론 외국인학생의 비율이 높은 국가인 중국, 인도,
2008년 11월 17일
15:18
서울공대 현택환 교수, 암진단 및 치료용 다공성 나노입자 제조기술 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는 다공성 나노입자를 100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로 균일하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택환 교수는 중심에 있는 자성 나노입자를 일정한 크기의 구멍들이 있는 다공성 실리카(이산화규소)가 둘러싸고 있는 다공성 나노입자를 50~100㎚의 균일한 크기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다공
2008년 10월 30일
16:05
서울공대, 훌륭한공대교수상 시상식 개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은 10월 29일 12시, 서울대학교 엔지니어하우스에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훌륭한 공대 교수상과 신양공학학술상 시상식을 가졌다. ‘훌륭한공대교수상’은 공과대학 교수들의 연구활동을 진작하고 산업기술의 선진화를 기하기 위하여 1992년 7월 공대 15회 동문들이 출연한 기금으로 공대 학술상과 기술상을 제정하여 1994년까지
2008년 10월 29일
11:21
서울공대 신양공학학술상 시상식 개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은 10월 29일 12시, 서울대학교 엔지니어하우스에서 신양공학학술상 시상식을 가졌다. 이 상은 서울대 공대 동문인 태성고무화학(주)의 창업자인 정석규(鄭晳圭, 80) 신양문화재단 이사장이 모교의 젊은 교수들을 위해 제정한 상이다. 정 이사장의 호를 따 ‘신양’공학학술상으로 명명한 이 상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직 교수 중
2008년 10월 29일
11:20
서울공대, “백발의 공학도들, 50년만에 모교 방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은 10월 28일 엔지니어하우스에서 졸업한지 50년이 된 백발의 선배 동문들을 모교에 초청하는 행사를 열었다. 서울대 엔지니어하우스 대강당에는 70세를 훌쩍 넘긴 노(老)신사들이 인사를 나누느라 정신이 없었다. 얼굴에 난 검버섯이 세월을 실감케 했지만 마음은 학창시절로 돌아가 있는 듯했다. 모두가 ‘왕년의 공학도’들이다
2008년 10월 27일
10:31
서울대 빗물연구센터, UNEP와 공동으로 이란에 빗물시범사업 수행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의 빗물연구센터가 제안한 ‘이란동북부의 건조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수자원 확보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빗물이용’ 프로젝트가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국제연합환경계획)가 주관하는 “2008년 아시아 태평양 환경개발 포럼(Asia Pacific Forum for Environm
2008년 10월 14일
15:14
서울대 공대 김승조 교수, 신개념비행체 ‘사이클로콥터’로부터 고효율 풍력/수력 발전 시스템 개발
국제유가가 올라가면 항공사들이 먼저 타격을 입는다. 항공분야는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대표적인 분야인데 이번에 항공기 기술을 연구하는 국내 연구진에 의해 오히려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 항공우주구조연구실 (책임교수: 김승조 http://astl.snu.ac.kr) 에서는 항공기 기술을 활용하여
2008년 9월 22일
15:02
서울대 공대 박남규 교수, 초고속 정보처리를 위한 집적회로 연구
2007년, Gordon Moore (Intel)는 향후 10-15년 이내에 Moore의 법칙이 물리적 한계로 인하여 더 이상 반도체의 집적화는 어렵게 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Moore는 그 근거로 물리학자 Stephen Hawking의 말을 인용하여 물리학에서의 두 가지 기본적인 단위 (원자의 크기, 빛의 속도)에 현재 기술이 근접해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2008년 9월 17일
10:56
서울대공대, 세계 최대 석유개발 전문 업체인 슐럼버저와 산학협력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강태진) 에너지자원공학과(학과장 전석원)는 최근 슐럼버저(Schlumberger SEACO)와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에너지자원개발 전문인력 양성에 집중하기로 했다. 현재 국내에서 활동중인 자원개발 전문 인력은 약 600-700명 수준인데 오는 2015년까지 4000명 이상의 신규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해외자
2008년 9월 11일
13:28
페이지당 50개
페이지당 5개
페이지당 10개
페이지당 25개
페이지당 50개
페이지당 75개
페이지당 100개
이전
1
2
3
다음
동영상
Heterogeneous Sensing in a Multifunctional Soft Sensor for Human-Robot Interfaces
언론인, 블로거 안내
MY뉴스
를 이용하면 관심있는 기업과 관심 산업 분야의 뉴스를 구독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주요 뉴스
전체 뉴스
MY뉴스
사진
동영상
상장기업
영문
기업뉴스룸
전시회
인기 토픽
RSS 구독
언론 서비스
MY뉴스 안내
보도자료 호스팅
보도자료 전송
언론인 가입
산업별 뉴스
IT
건강
경제
교육
금융
농수산
라이프 스타일
레저
문화/연예
물류/교통
미디어
부동산
사회
산업
스포츠
에너지/환경
유통
자동차
정책/정부
주제별 뉴스
개발
공모/모집
기업문화
기타
분양
사업계획
사회공헌
선언/의견
설립
소송
수상/선정
수주
신상품
실적
인물동정
인사
인수/합병
전시/출품
정책
주제별 뉴스
제휴
조사연구
채용
투자
판촉활동
행사
지역별 뉴스
서울
인천/경기
대전/충남
광주/전남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강원
충북
전북
제주
해외
서비스
왜 뉴스와이어인가?
어떻게 배포하나
산업별 미디어
지역별 미디어
해외 미디어
배포 절차와 보고서
많이 기사화된 보도자료
서비스 종류와 요금
베이직
스탠다드
프리미엄
프로페셔널
해외 홍보
부가서비스
누가 이용하나
이용 후기
고객센터
보도자료 등록
기업회원 가입
교육
홍보 마케팅 전략보고서
보도자료 작성
보도자료 유형
홍보 직무
자주하는 질문
회사 소개
블로그
연혁
파트너 되기
이용약관
편집가이드라인
사이트맵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