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회의 논평-쌀시장 개방시대에 대처할 농업경쟁력 향상을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

서울--(뉴스와이어)--국회는 23일 “WTO 쌀 관세화 유예협상에 대한 비준동의안”을 민주, 민노당의 반발 속에 223명의 의원이 투표에 참여하여 찬성 139, 반대 61, 기권 23표로 통과시킴에 따라 2014년까지 10년간 쌀 관세화 유예를 위한 국내적 절차가 우여곡절 끝에 마무리되었다.

이에 따라 쌀 의무수입량은 금년의 22.5만t에서 10년간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40만 8,700t로 늘어나게 된다. 아울러 가공용으로만 공급하던 일반소비자용 시판도 내년부터 허용되며, 물량도 금년도 의무수입량의 10%에서 2010년에는 30%로 늘어난다.

시민회의는 쌀 비준안 통과로 인한 농민들의 심리적 충격과 쌀값하락에 대한 우려 등에 공감한다. 그러나 대외신인도 하락과 외국의 관세화 요구가능성 등 쌀 비준안 처리를 마냥 미룰 수만 없는 대외통상환경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함을 지적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문제는 감성적인 대응이 아니라 현실성과 실리를 따져 우리에게 보탬이 되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 같은 시각에서 쌀 시장 개방의 불가피성을 피력해 온 시민회의는 쌀 비준안 국회통과가 어쩔 수 없는 현실적 선택이었다고 평가한다. 동시에 1993년 UR협상 이후 70조원이라는 엄청난 국가재정이 농업부문에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간 크게 나아진 것이 없는 농업정책의 난맥상도 지적하고자 한다.

지금부터 해야 할 일은 농업을 살릴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 과거와 같은 전철을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정부는 농업부문에 향후 10년 동안 119조원을 추가로 투입할 예정이지만, 그 수단과 방법이 소기의 정책목표를 거두는데 진정으로 도움이 될 것인지를 면밀하게 검토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쌀 비준안 통과에 강력히 반대한 민노당과 민주당은 비준안 통과연기라는 당의 목표를 이루지 못한 데 대해 집착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농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보다 현실적인 정책대안을 개발, 제시함으로서 농업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데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이를 통해 정책정당으로서 농민들의 지지를 얻으려 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일 것이다.

한국은 쌀 시장개방과 관련하여 개도국 지위를 계속 보장해 달라고 국제사회에 언제까지 요구만 할 수는 없다. 또한 정부 지원만으로 농업경쟁력이 강화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이제 농민과 농민단체들도 이 같은 현실을 직시하고 개방 반대만을 주장할 것이 아니라 이미 도래한 “쌀시장 개방시대”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슬기와 지혜를 함께 모아야 할 것이다.

2005. 11. 24 바른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바른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개요
바른사회를 위한 시민회의는 확고한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경제체제가 실현된 사회를 바른사회라고 정의하고 이를 위해 뜻을 같이하는 각계 각층의 모든 시민과 단체들이 함께 힘을 합쳐 노력하는 비영리 순수 민간 기구입니다.

웹사이트: http://www.cubs.or.kr

연락처

김영훈 간사 02)741-7660~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