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아파트 분양가, 지난해 비해 11% 상승

서울--(뉴스와이어)--정부가 원가연동제, 전매제한 강화, 대출시 총부채상한비율(DTI)적용 등으로 투기수요 억제를 위한 갖가지 대책을 통해 부동산시장 안정을 유도했지만 올 상반기에도 어김없이 아파트 분양가와 시세가 동반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아파트값의 상승은 서울,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반면 아파트 분양가는 지방 지역의 상승이 두드러진 점이 눈에 띈다. 특히 지방 시장의 침체 속에서도 가파르게 오르는 지방 아파트 분양가는 내집 마련을 꿈꾸는 서민들의 꿈을 깨버리기에 충분했다.

부동산1번지 스피드뱅크(www.speedbank.co.kr)가 올 상반기 공급됐던 아파트 분양가를 총 정리해 본다.

2006년 상반기 아파트 분양가 11% 상승

올 상반기 공급된 아파트 분양가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 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번지 스피드뱅크(www.speedbank.co.kr)가 2006년 상반기 전국에서 공급된 아파트 분양가를 조사한 결과, 평당 분양가가 지난해 동 기간(734만원)에 비해 11%가량 상승한 평균 823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 아파트 평당 평균 매매가(691만원)에 비해서는 평당 132만원(19%) 가량 높은 금액이다.

2005년 상반기 평균 분양가와 비교해 보면 올 상반기에 분양이 없었던 제주도를 제외한 15개 광역 시·도에서 분양된 아파트 분양가가 모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도시, 행정도시로 개발 등 호재를 빌미로 고분양가 배짱분양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 상반기 전국에서 분양가가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울산으로 나타났다. 울산의 상반기 평당 분양가는 1113만원으로,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평당 513만원 상승했다. 이는 그 동안 울산의 분양물량이 비교적 적었던 데다 올 상반기에 분양가가 높은 고급 주상복합이 대거 분양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다음으로 높은 분양가 상승을 보인 지역은 올 3,4월에 판교, 하남, 장기지구 등 유망 택지지구 분양이 몰렸던 경기도로 지난 해에 비해 평당 215만원 상승한 960만원을 기록했다.

기업도시 행정복합도시가 들어서는 충청도에 공급되는 아파트 분양가도 평균 600만원을 넘어섰다. 기업도시가 들어서는 충북이 작년에 비해 평당 195만원 오른 660만원, 행정복합도시가 들어서는 충남도 평당 155만원 오른 674만원, 혁신도시가 들어서는 경남이 평당 154만원 올라 665만원을 기록하면서 평당 600만원을 각각 넘어섰다.

전국 15개 광역 시도를 기준으로 아파트 분양가가 500만원대를 기록하고 있는 곳은 강원도(576만원), 경상북도(587만원), 광주광역시(569만원), 전라남도(579만원), 전라북도(535만원) 등이 유일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밖에 서울에서 올 상반기에 분양된 아파트 분양가는 평당 1282만원을 기록했다.

택지개발지구 Vs 非택지개발지구

8.31부동산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공공택지지구에서 원가연동제가 시행됨에도 불구하고 택지개발지구에서 분양한 아파트의 분양가가 비(非)택지지구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초 20~30%의 분양가 인하를 장담했던 정부 정책이 그다지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올 상반기에 택지지구에서 분양한 아파트의 평균 평당 분양가는 880만원으로 비(非)택지지구(평당 773만원)보다 107만원이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택지지구별 분양가를 살펴보면 하남시 풍산지구가 평당 1164만원을 기록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성남 판교지구 1148만원, 김포 장기지구 926만원, 인천 서장지구 803만원 순이었다.

하남 풍산지구의 분양가가 판교신도시보다 높은 이유는 판교신도시의 경우 전국민적인 관심으로 인해 성남시가 높은 분양가를 승인해 주기 어려웠지만, 하남시의 풍산지구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어 건설사들이 신청한 높은 분양가를 하남시에서 그대로 승인을 해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웹사이트: http://www.speedbank.co.kr

연락처

스피드뱅크 부동산연구소 리서치팀장 김은경 02-593-877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