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총파업과 청와대 만찬 불참에 대한 민노당 김혜경대표 발언
노무현 정부는 또 이번 파업을 가리켜 ‘그들만의 노동운동’이니, ‘귀족노동운동’이니 하는 막말을 아니, 그보다 더 독한 말들을 쏟아 놓겠지요. 노무현 정부의 노동 정책기조 속에서는 충분히 가능한 일들일 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노동진영에 적대적인 노무현 정부의 태도와 민주노동당에 대한 무력화와 탄압은 한 묶음입니다.
지금 공무원 노조에 대한 탄압은 그 정도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어제 권영길 의원 사무실에는 경찰이 난입했습니다. 얼마전에는 천영세 의원단 대표의 차량을 불법 수색했습니다. 이영순 의원은 집회 중 폭행을 당했었고, 행자부 장관은 민주노동당의 구청장에 대한 고발을 종용 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어찌 민주노동당에 대한 무력화 시도이자, 야당탄압이라 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현장책임자들의 우발적인 실수가 아닙니다. 노무현 정권이 노동계와 민주노동당을 바라보는 태도와 분위기가 그대로 반영된 일들입니다.
군사독재 시절, 야당 당사는 수많은 시국 농성자들로 들끓었습니다. 대통령이 몸담았던 구 민주당사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농성자들을 체포하기 위해 야당 당사에 진입했던 정권은 결국 큰 봉변을 당해 왔음을 노무현 정부는 기억해야 합니다. YH무역 노동조합의 신민당사 농성은 그 교훈을 웅변하고 있습니다.
이제 노무현 정부는 노동진영에 대한 반노동 정책을 포기하고 비정규 개악안을 철회하며 즉각 대화에 나서야 합니다. 또 민주노동당에 대한 무력화 시도를 중단하고 책임자를 파면하며 청와대가 직접 나서서 사과를 해야 할 것입니다. 민주노동당과 노동계를 대화의 상대로 인정하지 않는 한 형식뿐인 테이블에 앉을 이유는 없습니다. 이것이 제가 청와대 만찬에 참석치 않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서로의 말에 귀 기울이는 진정어린 대화를 원합니다. 이러한 대화에 대한 기대가 무너진 지금, 민주노동당은 비정규직의 확산을 막고자 하는 민주노총의 결단에 기꺼이 동참합니다. 민주노동당은 전 당력을 기울여 노무현 정부의 반노동정책을 바로잡고 비정규직의 양산을 막아내며 차별을 철폐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민주노동당이 존재하는 이유이기 때문입니다.
웹사이트: http://www.kdlp.org
연락처
대변인 박용진 (017-259-5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