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평가원 모의평가 출제 경향 분석(과학탐구 영역)

서울--(뉴스와이어)--2006년 9월 6일 시행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평가원 모의평가 출제 경향 분석(과학탐구 영역)

1. 출제 경향 및 난이도 분석

전체적으로 2006학년도 수능과 문제의 형식과 난이도가 비슷하게 출제되었으나 화학II의 난이도가 다소 높게 출제된 것으로 분석된다. 2006학년도 수능과 마찬가로 과목별로 약간 어렵게 출제된 두세 문항을 제외하면 교과서 내의 지식으로 쉽게 풀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그리고 여전히 그림이나 표 등의 자료를 제시한 문제가 많이 출제되어 2007학년도 수능을 대비하여 교과서나 기존 모의평가에서 나왔던 그림이나 표를 중심으로 개념을 정리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 그림이나 도표로 제시된 자료의 분석 문항이 많았다.

과목의 특성상 그림이나 도표가 제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문항의 출제가 다수를 차지하고 단순히 공식을 외우거나 자료의 표면적인 해석보다 개념파악을 전제로 한 사고력 측정을 염두에 둔 문항 출제가 두드러졌다.

2) 심화 선택 과목의 경우, 기존에는 실생활 관련 문항이나 환경과 사회 문제 등을 다룬 시사성 있는 문항과 교과서 내의 기본 개념을 확인하는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다.

3) 개념의 이해와 적용을 강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2. 난이도 분석

물리I, II 이번 9월 평가원 모의 고사는 6월 모의고사와 난이도는 비슷한 수준에서 출제되었다. 그러나 단순 지식을 묻거나 간단한 탐구의 한 과정만을 분리해서 출제하지 않고, 실험 내용과 개념, 자료의 분석과 적용 능력, 단원의 통합 문제 등 사고력을 깊이 있게 측정하려는 문제들이 많아져 변별력을 높이려는 흔적이 보인다. 따라서 단순한 공식만 외우거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수험생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화학I, II

[화학Ⅰ] 2006년 수능과 6월과 9월 평가원 모의 고사에서 탐구 자료의 분석 및 해석형 문항과 결론 도출 및 평가 형 문항이 50%이상의 비율을 차지하였고, 생활 주변이나 과학의 원리 현상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항이 출제되어 실생활과 관련된 문항이 점점 다양하게 응용되고 출제 비율도 높아지는 추세이므로 다양한 문제를 많이 풀어보면서 응용력을 길러두는 것이 필요하다.

2007년 화학Ⅰ 수능 시험을 대비해서 특히 기본 및 그림 자료 등을 반드시 숙지하고 새로운 자료를 보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교과 개념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과학 개념을 실생활과 연관시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문제풀이에 있어서 정답 찾기에 급급해하지 말고 5개의 문항 중 정답지는 왜 답이 되는지, 네 가지 오답은 어느 요소 때문에 답이 안 되는지를 철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화학Ⅱ] 2006년 수능과 6월과 9월 평가원 모의고사에서 화학의 경우 전체적으로 9월 평가원 모의고사에서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출제되었고, 선택지나 보기의 내용이 쉽지 않았기 때문에 난이도가 상당히 높았다. 과학 개념의 원리 및 적용에 관한 문제와 탐구 자료의 분석 및 해석형 문항과 결론 도출 및 평가 형 문항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정량적인 계산을 해야 하는 문제가 많아 20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부족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07년 화학Ⅱ 수능 시험을 대비해서 새로운 유형보다는 기존의 유형을 변형시켜서 보기의 내용을 좀 더 어렵게 하는 경향이 계속 될 것이고 특히 3 단원의 내용이 많이 출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개념 정리를 명확히 했다면 많은 문제풀이가 뒤따라야 한다. 문제풀이에 있어서 정답 찾기에 급급해하지 말고 5개의 문항 중 정답지는 왜 답이 되는지, 네 가지 오답은 어느 요소 때문에 답이 안 되는지를 철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생물I, II

[생물Ⅰ] 전반적인 출제 경향 및 문제 유형은 2006 수능과 6월 모의 평가와 소재와 형식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전 단원에서 골고루 출제되었다. 다만 시사적인 생명과학 관련 문항이 출제되지 않았으며, 문제에 주어지는 상황이나 조건을 변형시켜 제시함으로써 체감 난이도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단순 개념형 문제보다는 제시된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적용하거나, 해석하는 자료 제시형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으며, 단원 간 통합 문항의(4번, 13번, 14번, 16번, 17번) 비율이 증가 하였다. 생물 교과의 특성상 그림, 그래프, 도표를 통해 자료를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거나 적용하는 문항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서에 실린 각종 자료가 의미하는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할 필요가 있다.

[생물Ⅱ]전과정에 걸쳐 기본 개념의 이해와 용어의 정확한 이해가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어 예년의 경향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주어진 자료를 꼼꼼히 분석하고 문제흐름을 입체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부분이 강조되고 있다.

지구과학 I, II : 지구과학 Ⅰ, Ⅱ 모두 2006년 수능이나 6월 모의고사에 비해 비교적 쉽게 출제되었다.

지구과학 Ⅰ의 경우 시의성 있는 문제가 자료 제시형으로 출제되는 경향이 정착되고 있으며, 2006년 수능이나 6월 모의고사에서처럼 그래프를 해석하기만 하면 쉽게 답을 얻을 수 있는 문제들의 출현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시사성 있는 주제나 역사적으로 지구과학사에 의미를 가지는 사건들에 대한 추가적인 정리와 그래프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지구과학Ⅱ의 경우 시의성 있는 문제나 난이도 높은 문제보다 교과서 내용을 충실하게 정리하면 해결할 수 있는 평이한 문제들이 주로 출제되고 있다. 그러므로 교과서 내용을 한 번 더 충실히 정리하는 것이 고득점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3. 2007학년도 수능 대비책

1) 교과서 내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완전히 숙지하라

과학탐구는 교과서의 개념과 원리를 얼마나 정확히 숙지하고 있느냐가 문제 해결의 중요한 포인트이다. 따라서 교과서 내의 개념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숙지하면서 문제 풀이를 하면서도 관련 개념과 원리를 연관시키면서 학습하는 훈련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2) 심화선택Ⅰ 과목은 교과서에 제시된 실생활 소재를 교과 내용과 연관지어 학습해야 한다

2006 수능에서도 심화선택Ⅰ과목에서는 다양한 실생활 소재를 활용한 문항이 다수 출제되었다. 또한, 이러한 소재를 이용하여 개념형 문항(과학 개념의 이해, 개념의 적용)이 다수 출제되었으며, 교육 과정에 제시된 내용을 통해 자연 현상과 연관지은 문항도 일부 출제되었다. 그러므로 심화선택Ⅰ을 학습할 때에는 교과 내용을 실생활 소재, 또는 자연 현상과 관련지어 학습해야 한다.

3) 심화선택Ⅱ는 전문 교과 내용의 이해를 바탕으로 종합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심화선택Ⅱ는 전문 교과 내용을 다루는 과목이다. 따라서, 2006 수능에서도 심화된 교과 내용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사고력과 응용력 및 계산 능력을 측정한 문항이 다수 출제되었다. 그러므로 교육 과정에 제시된 교과 내용을 바탕으로 교과서에 제시된 자료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파악해야 하며, 이론, 법칙, 관련 공식 등을 암기 및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4) 도표, 그래프, 실험장면 등에 관심을 가져라

과학탐구 영역은 도표와 그래프, 실험 등이 문제 지문으로 다수 출제된다. 이러한 그래픽 자료가 교과의 기본 개념과 원리와 연계되어 다수 출제 되는 만큼 교과서 내의 도표와 그래프, 실험장면 등을 관련된 개념과 원리와 연계시켜 학습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웹사이트: http://www.coryopub.co.kr

연락처

고려학력평가연구소 평가연구실 유병화 평가이사 02)2001-9993 011-729-009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