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원전지역주민, 지역원자력발전소 불신비율 가장 높아

서울--(뉴스와이어)--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금년 2월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조사한 ‘원자력 안전과 규제에 관한 국민인식도’에서 지역별로는 영광지역 주민들이 부정적 답변을 많이 해, 지역 특성에 맞는 홍보전략과 대책마련이 필요함.

위의 조사는 원자력 안전 및 규제에 관한 국민여론 점검과 원자력 안전홍보 및 정책개발 수립을 위해 KINS가 01년 이후 실시해 온 여론조사의 일환으로 영광, 울진, 고리, 월성 등 4개원전지역 각 200명, 총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에 대해 만족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 영광지역 주민의 39.5%가 ‘대체로 불만족’, 9.5%가 ‘매우 불만족’ 등 49% 가 불만족이라고 답변, 타 지역 원전주민에 비해 불만족도가 높았음.

원자력 안전에 대한 ‘전망이 어둡다’라고 전망한 비율이 36.5%로 울진(20%), 고리(20.5%)보다 훨씬 높게 나왔음.

☞ 타 지역 원전주민은 원자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한 비율이 높고 울진과 고리의 경우 긍정적 전망이 부정적 전망의 2배가 넘는데(울진 20:46, 고리20.5:41) 이는 원자력의 안전성에 대한 홍보나 안전교육이 부족하다는 반증 아닌가?

KINS에 대한 인지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높지만(33%), KINS의 규제활동을 신뢰하는 비율은 가장 낮게(33.3%), 불신하는 비율은 가장 높게(27.3%) 나타났음.

☞ KINS에 대한 인지도도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뿐 30%대에 그치고, 규제활동에 대한 신뢰도도 33%로 가장 낮은 것으로 드러났음.

☞ 우리나라의 원자력안전에 관한 규제기관인 KINS에 대한 인지도와 신뢰도가 이렇게 낮다는 것은 원전사고에 대한 불신과 불안감이 매우 크다는 것인데, 지역원자력 회사 스스로라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회복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닌가?

우리지역 원자력발전소는 어떤 사태 발생시에도 잘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을 것이다‘라는 설문에 동의하지 않는 비율(48.0%)이 타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아 만약의 사고대처 시스템에 대한 불신의 정도가 높았음.

☞ 만약의 사태가 발생할 경우에 원자력발전소가 대처할 시스템을 못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는 주민이 재해대처 시스템이 있다고 믿는 주민보다 훨씬 많다는 것임.

‘원자력 발전소 직원들은 사고의 위험성과 심각성에 대해 너무 낙관적이다‘라는 설문에 대해 ’동의한다‘(43.1%)가 ’동의 않는다‘(20.5%)의 2배가 넘었는데, 특히 영광지역 주민의 경우 58%가 원전 직원들의 낙관적 태도를 우려하였음.

‘다른 지역 발전소보다 우리 지역 원자력 발전소에서 안전사고가 더 적게 발생하고 있을 것이다’라는 설문에 영광지역 주민의 35.5%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여 타 지역보다 자기지역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불신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원자력 발전소에 이상이 생겼는지를 알아보고 싶을 때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지 못하는 주민이 전체 83.9%로 나타난 가운데, 영광지역 주민은 89.5%가 모르는 것으로 나타나 원자력발전소 관련 정보가 타 지역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음.

☞ 원전에 이상이 생겼는지 알고 싶을 때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를 모른다는 주민이 4개 원전지역 통틀어 84%에 이르는 가운데 특히 영광지역 주민의 89.5%가 모른다고 답한 것임.

원전지역에 거주하면서도 방사능 물질 오염 여부 등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를 알지 못하는 주민이 열에 아홉이라면 이는 문제가 심각한 것임.

지역주민이 원자력발전소의 이상 유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이 긴요함. 영광원자력본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함.

북핵실험으로 국민들의 원자력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은 시점에 ‘원자력안전에 대한 국민인식도 조사’의 결과는 원자력담당기관들의 안전의식 및 대책마련이라는 국가적 과제에 하나의 시사가 될 수 있을 것임.

웹사이트: http://www.khjkorea.com

연락처

김희정의원 최상구 사이버팀 비서 02-788-2203 휴대폰 010-7979-155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