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맞춤형 기능인력 양성에 70억원 지원
「기업-공고 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은 중소기업 현장의 직무를 분석, 이를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공고 3학년생을 1년간 훈련시켜 졸업과 동시에 해당 중소기업에 취업시키는 사업으로 참여 학교에는 실습에 필요한 기자재 구입비와 교육 훈련에 따르는 제반 사업추진 운영비를 예산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참여 학생에게는 연간 학자금에 해당하는 교육 훈련비(120~150만원)와 훈련기간 중 매월 20만원의 훈련수당을 지원하며, 협약 취업기간(2년) 중에는 입영 연기 혜택을 부여함
참여 기업은 비용부담 없이(기업이 학생에게 지급한 훈련비와 훈련수당은 고용보험기금으로부터 환급) 맞춤형으로 양성된 인재를 채용하게 됨
“중소기업은 인재를, 공고생은 직업을 예약하는” 동 사업은 중소기업은 심각한 기능 인력난*을 겪고 있는데 반해, 공고는 대학진학 증가(‘05년 진학률 67.6%) 등으로 제 역할을 못하고 있으며 공고 졸업생의 업무 부합도가 낮은** 점을 감안, ‘06년부터 추진중이며
* 중소제조업 인력부족률(‘05) : 평균 3.79%, 기능직 6.19%, 노무직 2.93%
** ‘04년 실태조사 결과 : 부합도 높음 27.3%, 부합도 낮음 29.6%, 보통임 43.1%
작년에 39개 공업고, 학생 1,160명 및 382개 중소기업이 협약을 체결하여 교육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공고생은 2월 졸업과 동시에 협약 체결 중소기업에 정규 근로자로 취업하게 됨
설문조사 결과, 참여 학생은 업무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았으며 중소기업 75%가 참여 학생의 OJT 기간이 단축되었다고 응답하는 등 학생과 중소기업이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이와 함께, 온라인 사업관리 시스템 운영 등 사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 조성 노력도 병행할 계획임
실시간으로 신청 및 사후관리가 가능한 사업관리시스템(idt.smba.go.kr) 운영 및 대학 진학 지원 등 참여 학생·교사 및 중소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 전문가를 통한 학교(교사)의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자문 및 교사 전문기술연수 등 맞춤훈련 운영 내실화를 도모하는 한편 평가시스템을 운영하여 전년도 성과와 차년도 예산을 연계하고 지방 중기청 등을 통해 취업 학생 등에 대한 사후관리를 강화할 예정
동 사업이 확산·정착되면 공업고는 지역전략산업의 인력수요에 부응하는 산·학 협력체제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아 기능인력 부족에 직면하고 있는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기획예산처 개요
기획예산처는 재정정책, 국가재정운용계획의 수립, 예산의 편성 및 기금운용 계획안의 협의 · 조정, 예산 · 기금의 집행 및 성과의 관리, 재정혁신과 공공혁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mpb.go.kr
연락처
기획예산처 산업정보재정과 과장 이승철 02-3480-7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