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금 투자풀, 기금에 대한 자문 강화 등 운영개선
「연기금 투자풀 운영개선 방안」,「2006년 투자풀 주간사 성과평가」 등 4개 안건을 심의·의결하였음
연기금 투자풀 제도 개요
ㅇ 근거 : 국가재정법(구 기금관리기본법) 제81조
ㅇ 목적 : 기금 자산운용의 경제성·전문성·수익성 제고
ㅇ 운영시기 : ‘01.12월부터
ㅇ 운영기관 : 삼성투신운용(주간사), 9개 개별운용사, 신한은행(수탁사) 등
ㅇ 참여기금 및 운용규모(‘07.1월말) : 기금 36개 등 38개 기관, 35,615억원
ㅇ 운영성과(‘07.1월말 기준 연환산 수익률) : MMF 4.39%, 채권형 5.13%, 혼합형 14.83%, 주식형 30.59%
이번 투자풀운영위원회에서는 연기금 투자풀이 기금자산운용 선진화의 한 축이 될 수 있도록「연기금 투자풀 운영개선 방안」을 마련
MMF 익일 환매제 시행 등 시장환경 변화, 업계 보수 차이 축소 등을 감안하여 MMF의 주간사 직접운용 비중을 확대하고 운용사 수 축소
* 재간접투자 운용사(한국투신, 푸르덴셜, KB, 대한투신) 축소(4 → 2개)
운용 난이도 감안, 운용성과 향상을 유도하도록 운용기관 보수 조정
* MMF 운용사 10 → 8bp(주간사 직접운용 4bp), 채권형 운용사 16 → 13bp, 주식형 운용사 평균 14.7 → 16bp 및 성과보수 지급, 사무수탁사 1.5 → 1bp
기금의 신상품 수요에 부응한 상품개발 및 주간사 권한 강화
* 주식형 인덱스 펀드 도입, MMF·주식형 Universe(운용사 pool) 도입, 상품개발 및 개별운용사 성과평가에 대한 주간사 권한 강화
기금에 대한 자산배분 자문을 강화하여 서비스 내실화
* 자산운용 관련 핵심주제에 대한 매뉴얼 작성·보급 및 자문서비스 표준화 방안 마련
투자풀 성과제고를 위해 운용사 성과관리 기준 강화
* 주간사 계량평가 결과 재선정 기준 점수를 ‘55점 이상 → 60점 이상’으로 상향
* 개별운용사 계량평가 결과 재선정 기준 가산율을 현행 대비 2배 수준으로 상향
아울러, 기금 자산운용 평가를 위한「자산운용관리의 효율성」 평가시 기금의 연기금 투자풀 위탁금액부분에 관해서는 연기금 투자풀 관리의 효율성을 반영하여 평가
올해 실시한「2006년 투자풀 주간사 성과평가」결과 ‘05.11월 주간사로 재선정된 ‘삼성투자신탁운용(주)’의 ’06년도 성과평가 결과, 1차 계량평가 62.85점으로 ‘07년도 1년간 주간사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음
* 종전 주간사 성과평가 기준
1차 계량평가 45점 미만(탈락), 45~55점(2차 평가 실시), 55점 이상(재선정)
「투자풀 운영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수렴과 함께 실시한 만족도 조사 결과, 기금의 투자풀에 대한 만족도(5점 척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
투자풀 예탁 기금의 만족도는 63.6점으로 ‘만족’ 이상 응답이 64%
교육 및 자문만족도는 각각 64.7점, 68.9점으로 ‘만족’ 이상 응답이 각각 61%, 76%
기획예산처 개요
기획예산처는 재정정책, 국가재정운용계획의 수립, 예산의 편성 및 기금운용 계획안의 협의 · 조정, 예산 · 기금의 집행 및 성과의 관리, 재정혁신과 공공혁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mpb.go.kr
연락처
자산운용팀 팀장 정규돈 02-3480-7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