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논평-문화다양성협약의 조속한 비준을 촉구한다

서울--(뉴스와이어)--2005년 10월 20일 유네스코 총회에서 148개국의 압도적 지지로 통과된 <문화다양성협약>이 50개국의 비준을 통해 3월 18일부로 발효되었다. 그러나 이 협약에 찬성표를 던졌던 한국정부는 4개월이 넘도록 미적거리고 있기에 그 진정성에 대한 강한 의구심을 낳고 있다. 이 협약이 통과되기 무섭게 발표한 외교부 대변인 명의의 보도자료에서 ‘한국은 문화다양성 보존의 중요성을 인식해 협약의 채택에 찬성했으나, 이 협약이 WTO등 다른 협약상의 권리 및 의무의 변경으로 해석되면 안된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던 한국정부이기에 그 진정성을 의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이것은 협약통과를 줄기차게 반대해온 미국의 논리를 그대로 확인한 전형적인 ‘눈치보기’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정부가 이러한 의구심을 떨쳐낼 수 있는 유일한 길은 협약의 조속한 비준뿐이다.

<문화다양성협약>은 할리우드영화를 필두로 한 미국 중심의 문화 획일화를 반대하는 의미이면서, 각국이 자국의 문화 보호를 위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문화가 자본 증식의 수단으로 기능하는 현 시대에 문화를 지키는 것은 또 다른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일이며 다른 의미에서의 주권을 지키는 일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국의 문화정책을 세우고 실행하며,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을 보호하고 증진할 수 있는 수단을 채택하고, 국제적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주권을 지니고 있음을 재확인한 것은 분명 획기적인 변화다.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 문화침략으로 인해 심각한 곡절과 왜곡을 겪고 있다는 것에 비춰보면 이는 한 국가에게 있어 하면 좋고 안 해도 그만인 사항이 아닌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열린 <문화다양성협약> 발효 기념 토론회(3월 13일)에서 한 외교부 담당자는 ‘부처간 의견수렴은 대충 마무리되었다’고 했다. 언제 비준절차를 거칠 것인가에 대한 끈질긴 질문에 ‘이달 안에 검토를 마무리 하겠다’ 고 했지만 구체적인 타임테이블조차 가지고 있지 않은 조건에서 그 실현 가능성에는 물음표가 이어질 수밖에 없다. 스크린쿼터를 알아서 반토막 내고 시작한 한미FTA 협상과 참 비교되는 대목이다. 온 국가에 재앙을 몰고 올 한미FTA는 졸속으로 추진하면서 전 세계의 압도적인 지지 속에 이미 찬성한 바 있는 <문화다양성 협약>에 대해서는 무슨 고려사항이 그리 많단 말인가.

세계는 지금 <문화다양성협약> 채택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던 한국의 비준 여부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지금은 미국 눈치를 볼 것이 아니라 미국의 문화침략에 대응하고 자국의 문화를 보호, 증진할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미국에 줄서기를 하는 것은 그들의 패권적 도발에 반대하는 세계흐름에 역행하는 일이며, 종국에는 간도 쓸개도 다 내주고 쪽박 차는 일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

다시 한 번 촉구한다. 국회는 하루빨리 <문화다양성협약>을 비준하여 문화다양성을 존중하는 세계적 흐름에 동참하라.

2007년 3월 18일
민주노동당 문화예술위원회

웹사이트: http://www.kdlp.org

연락처

02-2139-776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