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농기계 보관 및 침수 농기계 손질은 이렇게!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 농업공학연구소는 장마철에 대비하여 농기계가 침수되지 않도록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고, 어쩔 수 없이 농기계가 침수됐을 때는 신속히 손질할 것을 당부하였다.

침수된 농기계는 수리가 늦어지면 부품이 녹슬고 부식되어 수리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농기계 성능유지가 어렵고 수명이 줄어들게 되므로 장마철 농기계 보관 및 침수 농기계 손질요령에 따라 신속히 손질해 주어야 한다.

장마철 농기계 보관요령

농기계가 비를 맞지 않고 물에 잠기지 않도록 보관창고 등의 안전한 장소에 보관한다.

농기계에 붙어 있는 흙 등의 불순물을 깨끗이 씻어내고 물기를 없앤 다음 부품 등이 부식되지 않도록 기름칠을 하여 보관한다.

그리스니플에는 그리스를 충분히 주입하여 둔다.

각종 클러치나 벨트는 풀림상태로 조작해 둔다.

농기계용 유류 보관용기는 빗물, 습기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잘 덮어둔다.

침수된 농기계 손질요령

▣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사항

물에 잠긴 농기계는 절대 시동을 걸면 안 된다.

먼저 농기계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오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물기가 완전히 마른 다음 기름칠을 한다.

오일과 연료는 새로 교환하고, 니플에는 그리스를 주입한다.

기화기, 공기청정기, 연료여과기 및 각종 필터류는 새것으로 교환한다.

전기 배선은 깨끗이 씻은 후 완전히 건조시키고, 손상된 부분은 절연 테이프로 감아주거나 새것으로 교환한다.

배터리는 연결된 전선을 분리해낸 뒤 마른 걸레 등으로 물기를 닦은 다음 기름칠을 하고 배터리 단자에는 그리스를 칠한다. 단, 완전히 방전된 경우에는 새것으로 교환한다.

소음기(머플러)는 물이 차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반드시 고정 볼트를 풀어 소음기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휘발유 엔진의 경우에는 기화기를 분리하여 깨끗이 청소하고 메인젯트 등 연료흡입구가 막히지 않도록 정비하고, 점화플러그와 전기장치를 잘 씻은 후 말려주어야 한다.

엔진 속에 흙탕물이나 오물이 들어간 경우는 전문기술자의 도움을 받아 엔진을 분해수리 한다.

▣ 경운기

엔진부, 기어케이스부, 로타리체인케이스의 오일을 모두 빼내고 새것으로 교환한다.

연료여과기 및 공기청정기를 청소한다.

클러치부는 분해하여 깨끗이 청소한 후 완전히 건조시킨다.

전기 시동식 경운기는 배터리 및 배선을 점검한 후 청소한다.

쟁기, 로타리, 트레일러 등은 깨끗이 닦고 기름칠 한다.

▣ 트랙터

연료통과 고압펌프 안에 들어있는 연료를 완전히 빼내고 연료여과기를 새것으로 교환한 다음 새 연료를 넣는다.

공기청정기를 분해하여 덮개 등에 묻어 있는 오물을 제거한 다음 여과기(카트리지)를 새것으로 교환한다.

라디에이터에 붙은 오물을 없애고 팬쪽에서 물로 깨끗이 닦은 다음 냉각수를 깨끗한 것으로 교환한다.

시동모터, 발전기, 전압조정기 등을 깨끗이 청소하여 말린다.

▣ 이앙기

식부장치의 이앙밋션 커버를 열고 내부의 물기를 제거한 다음 그리스를 새것으로 교환한다.

식부암 커버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오일과 그리스를 6:4로 혼합하여 넣어준다.

각 작동부의 물기를 완전히 닦아내고 오일을 충분히 발라준다.

▣ 콤바인

각종 체인, 예취날, 반송부, 짚절단날 등에 낀 오물을 없애고 깨끗이 씻은 다음 기름칠 한다.

탈곡부를 분해하여 청소하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 기름걸레로 닦아준다. 특히 1, 2번구의 청소를 철저히 한다.

전기계통, 배선 등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주행부의 그리스 주입구에 그리스를 충분히 넣어준다.

▣ 방제기

동력분무기는 펌프를 분해하여 청소한 다음 내부의 오일 및 그리스를 새것으로 교환한다.

미스트기는 엔진, 약통, 송풍관 등을 분해하여 청소한 다음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모든 개스킷을 새것으로 교환한다.

▣ 온풍난방기

연소로 및 열교환기 내부에 물이 차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버너 및 연통을 분리한 다음 소형 펌프를 이용하거나 기울여서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완전히 건조시킨다.

버너를 분해하여 노즐, 분사펌프, 광전관 및 점화트랜스 등을 청소하고 필요시 새것으로 교환한다.

연료에 이물질이 혼입된 경우 새 연료로 교환하고 연료여과기를 청소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공기빼기를 실시한다.

송풍모터 및 컨트롤러 등의 전기계통을 깨끗이 청소하여 말린다.

▣ 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전기장치 점검사항

누전차단기의 점검버튼(보통 빨간색)을 눌러 전기가 차단되는지 확인한다.

물기가 있는 장소에 설치된 전기기구에는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접지한다.

전선의 피복 상태를 점검하여 벗겨진 곳은 보완하거나 교체한다.

절연테이프로 감아둔 곳은 물기가 스며들지 않는지 다시 한번 점검한다.

번개가 치는 동안 전기기구를 만지거나 전기기구 등을 들고 농로 등을 다니지 않도록 한다.

웹사이트: http://www.niae.go.kr

연락처

농업공학연구소 기초기술공학과 김병갑 연구사 031)290-189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