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태풍과 폭우 피해예방을 위한 농업시설 관리방법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 농업공학연구소는 장마철을 맞이하여 태풍, 폭우 등으로부터 원예, 축산, 버섯재배, 인삼 해가림시설 등 각종 농업시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농업시설의 사전점검과 관리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원예시설 관리 방법

원예시설은 크게 비닐하우스와 유리온실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리온실은 구조적 안전성이 높은 시설이므로 태풍 피해도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유리온실 태풍피해는 주로 강풍 시 환기창이 열려 있거나 시설이 낡아 유리가 창틀에 밀착 고정되지 못하고 틈이 생겨 바람에 흔들려 생기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유리온실에서는 장마 및 태풍을 대비하여 환기창 개폐관리와 유리 고정상태 등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 때에는 신속하게 보수하여야 한다.

또한, 태풍은 강풍 이외에도 많은 비와 천둥, 번개를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빗물이 새는 부위의 보수와 낙뢰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피뢰시설을 점검하고, 전선 연결부위의 점검과 낡은 전선을 교체하여 감전, 누전 등의 전기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그리고 정전에 의한 시설 내 기계 장치의 작동정지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비상발전기 등의 응급설비와 경보장치 등을 점검하여 비상사태에 신속히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비하여야 한다.

비닐하우스는 유리온실보다 구조적으로 취약한 시설이므로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태풍에도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사전 검과 관리에 특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비닐하우스의 피해는 주로 피복비닐이 찢어지거나 벗겨져 날아가는 형태가 가장 많다. 피복자재가 낡아서 찢어진 경우는 골조자재가 피해를 입지 않을 수도 있지만 골조가 파손된 후에 피복자재가 이탈되어 날아가 버리는 경우가 더 많다.

또한, 지반이 연약한 논에 시설하거나 지형적으로 골바람과 돌풍이 부는 지역의 시설은 바람에 의해 비닐하우스가 통째로 뽑혀 날아가거나 옆으로 밀려 쓰러지는 피해가 나타나기도 한다.

태풍 등 강한 바람이 불 때 피복자재가 찢어진 틈새나 천·측창 개폐부가 부서진 곳으로 바람이 들어오면 바람압력에 의해 하우스가 들떠 기초가 뽑히거나 피복자재가 낡은 곳부터 찢어지기 시작해 비닐하우스 전체가 피해를 입는다.

피복재가 찢어진 곳은 비닐접착용 테이프로 보수하고, 출입문이나 천창, 측창 개폐부위 등을 잘 살펴서 바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밀폐하는 것이 중요하며, 내부설비 및 천·측창 개폐장치, 파이프 골조와 패드의 볼트 고정상태 등을 점검하여 필요하면 신속히 보수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환기팬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환기팬을 작동시켜 내부의 공기를 빼주면 내부압력이 줄어들어 부압에 의해 비닐하우스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피복비닐은 밴드로 단단하게 묶어 바람에 펄럭이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이때 밴드는 일정 간격으로 매설된 나선형 말뚝과 연결된 파이프에 단단히 묶어 고정한다.

또한, 서까래 간격이 넓은 경우 위에서 내리누르는 바람 압력에 의해 하우스가 무너질 수도 있으므로 필요하면 서까래 중앙부에 보조 지지대를 설치해 주는 것이 좋다. 측면에는 파이프를 경사지게 덧대는 브레싱을 추가함으로써 바람압력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것도 효과적인 대응 방법이다.

만약, 바람이 너무 강하여 골조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신속하게 피복자재를 찢어 골조를 보호하는 것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다. 또한, 태풍 시에는 폭우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침수가 되지 않도록 사전에 배수로를 철저히 정비하여 물 빠짐이 잘 되도록 해야 한다. 이밖에 전기관련 점검사항 등은 유리온실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조치하면 된다.

축산시설 관리 방법

축산시설 중에서 태풍 등의 자연 재해시 특히 큰 피해를 입는 경우는 비닐하우스 형태의 파이프 골조에 보온덮개 등을 덮어 만든 간이형 축사이다. 이러한 축사는 비닐하우스처럼 구조가 약하기 때문에 태풍시 각별한 사전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

먼저 강풍이 불 때는 최소한의 환기를 위한 인입구 이외의 불필요한 부분은 모두 견고하게 밀폐하고, 배기팬이 설치된 축사는 배기팬에 의해서만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축사 측면의 윈치 커튼 등은 견고하게 고정하여 될 수 있으면 바람에 펄럭이지 않도록 한다.

축산시설은 높은 가스농도 등 내부환경이 열악해 금속의 부식이나 열화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갖고 있어, 구조체의 내력 또한 쉽게 감소할 수 있으므로 버팀기둥, 브레싱 등의 보조적인 구조물을 추가로 설치하여 바람압력에 의한 구조물의 파괴를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또한, 피뢰시설 및 전선 등 전기설비의 상태를 점검하여 낙뢰에 의한 피해나 누전,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방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폭우를 대비하여 축사 주변의 배수로를 철저히 정비하고, 경사면에 인접한 축사에서는 폭우로 인한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한 사전 점검과 대응조치가 필수적이다.

버섯재배시설 관리 방법

버섯재배시설은 단열패널을 사용한 패널형 버섯재배사, 간이버섯재배사, 표고버섯재배사 등으로 그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이중 특히 태풍 등에 취약한 시설은 표고버섯재배사이다.

다행히 최근 6년간 기상재해 현황에 따르면 버섯재배사는 폭설에 의한 피해가 크고, 태풍에 의한 피해는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표고버섯재배사는 비닐하우스와 그 시설형태 및 구조적 조건이 비슷하므로 태풍에 대비한 시설관리요령은 비닐하우스의 관리방법을 참고하여 실시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파이프 골조에 차광망만 씌워 재배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차광망 고정상태를 점검하여 바람에 벗겨지지 않도록 조치하고, 측면 브레싱, 버팀기둥 등 보조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여 바람압력에 의한 골조 붕괴를 예방한다.

인삼 해가림시설 관리 방법

인삼해가림시설은 농업시설 중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시설로 기상재해로 인한 피해 또한 큰 시설이므로 태풍에 대비한 사전점검과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인삼 해가림시설의 태풍 피해유형은 강풍에 의한 차광망(피복재)의 이탈 및 구조물 붕괴와 호우에 의한 토양유실로 재배상의 피해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인삼은 평지가 아닌 경사면에서 재배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호우를 동반한 태풍 시 많은 양의 지표수 유출로 인해 토양유실이 심하여 피해를 입게 되므로 배수로 점검 및 정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또한, 강풍에 대비하여 지주목과 도리목, 연목의 연결부위가 견고한지를 세밀히 점검하고, 피복재의 고정상태 또한 바람에 이탈되거나 펄럭이지 않도록 팽팽하게 고정한다.

웹사이트: http://www.niae.go.kr

연락처

농업공학연구소 시설자원공학과 윤남규 연구사 031)290-187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