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안와사, 뒷목 뻣뻣하다면 의심해보아야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의 증상
구안와사는 대부분 갑자기 일어나고 순식간에 진행한다. 입과 눈이 비뚤어지는 병이라고 하여 구안와사라고 하는데 이러한 증상은 안면에 분포된 운동신경이 마비되어 온다고 하여 안면신경마비증이라고도 한다.
구안와사는 대부분 감기 기운이 있거나 찬바람을 쏘였을 때 귀 뒷부분에 가벼운 통증이 생겼다가 반나절쯤 지나면 얼굴 반쪽이 일그러지는가 하면 어느 경우는 아무 증상 없이 아침 밤자리에서 일어나 보면 이내 얼굴 한쪽이 마비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얼굴신경의 마비는 뇌의 질환과 같은 중추신경의 장애로 오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는 단순한 얼굴근육의 마비뿐만 아니라 전신의 다른 증상도 같이 오므로 여기서 말하려는 단순한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인 구안와사와는 구별된다.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에 속하는 구안와사는 초기증상으로 아침에 일어나서 얼굴이 뻣뻣하여 잘 움직여지지 않으며, 마비가 온 쪽의 이마에 주름살이 없어지고, 눈썹이 처지며, 눈이 감기지 않아서 눈의 흰자위가 나타나고, 입술이 한쪽으로 처진다. 얼굴은 마비가 되지 않은 쪽으로 잡아당겨지므로 병이 잡아당겨진 쪽에 있는 것으로 착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그 반대쪽이 마비된 것이다. 이때 눈을 위로 올려 떠 보아서 이마의 주름살이 얼굴의 마비된 쪽에 생기면 이것은 중추성 마비이고 반대쪽에 생기면 이것은 말초성 마비로서 감별이 용이하다.
△구안와사 원인과 치료
안면신경마비가 왜 오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감기바이러스의 감염 등으로 안면신경이 경상돌기공이라는 뼈의 구멍을 빠져 얼굴로 나오는 부위에서 부종을 일으켜서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순한 안면신경마비인 구안와사는 일정한 시기를 두고 자연치료가 되지만 뇌종양·동맥류·신경의 염증·중독·나병·매독·근무력 및 기타 혈액질환이 원인인 경우는 예후가 불량하다. 따라서 크게 염려하고 긴장할 필요는 없지만 조기진단과 조기치료가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구안와사 증상은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이루어지면 특별한 후유증 없이 치료가 되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의 후유증을 남기게 된다.
△한의학으로 풀어본 구안와사
한의학에서는 구안와사를 찬바람과 같은 외기의 영향, 담(痰)이나 어혈(瘀血)과 같은 병적 산물 및 신체의 허약과 같은 조건들로 하여 안면에 분포된 경락(經絡)에 기혈(氣血)순환이 되지 않아서 온다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치료는 혈맥에서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관련된 경락, 장부의 문제를 풀어나가면서 근육마비를 풀어낸다는 차원에서 치료방법을 찾는데, 환자의 증상과 체질에 맞는 침 치료를 통해서 경락에 있는 풍한의 사기를 몰아내고 정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조절한다. 또한 물리요법과 더불어 기의 흐름을 순조롭게 하고 혈액의 순환을 촉진시키는 한약을 복용하며, 마비된 부위의 경혈을 맛사지 하면 더 빨리 회복할 수 있다.
△구안와사 이렇게 예방하자
구안와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새벽 찬바람을 피하고 특히 과음한 상태에서의 찬바람을 조심해야 한다. 설령 여름일지라도 찬 공기를 너무 많이 쐬는 건 좋지 않으며 당시엔 별 탈 없이 지나갈지라도 찬 바람이 부는 가을로 접어들면 병이 찾아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구안와사는 치료 후 며칠 동안은 오히려 입이나 눈 등이 더 돌아갈 수도 있고 통증까지도 생길 수 있으나 이것은 병이 낫는 과정 중에 일어날 수 있는 반응으로 조급한 마음을 버리고 꾸준히 치료받는다면 호전될 수 있다.
인애가 우신향한방병원(http://gangdong.inega.co.kr)
웹사이트: http://gangdong.inega.co.kr
연락처
JOINSM 홍보팀 홍준석 대리 , 02)511-0885 , 010-8974-8228 ,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인애가우신향한방병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07년 11월 28일 0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