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과학원, 수학, 물리, 계산과학의 미래 국제 전문가 양성에 앞장서
2008년 1월 7일~1월 18일: 고등과학원-서울대 주최 ‘물리 겨울학교’
취지: 광범위한 물리학 분야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이론들에 대한 강의와 이러한 접근을 통해 물리학의 기본 개념을 완전히 익히고, 상호교류적인 학습을 통해 진정한 물리학 연구에 대한 안목을 키움.
중요사항: 물리 겨울학교에서 제공되는 강의는 최신 연구 분야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이론들의 핵심적인 원리를 설명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이번 물리학교의 주요 강의로는 블랙홀의 에너지 방출에 관한 ‘상대성 이론과 양자 역학’, 분자 단위의 생명 현상을 광학적으로 연구하는 ‘단 분자 생물리학’, 그리고 작년에 노벨 물리학상이 수여된 분야에 대한 강의인 ‘거대 자기 저항과 스핀트로닉스’ 등의 강의가 있었다.
2008년 1월 27일~1월 31일: ‘제7회 단백질 접힘 겨울학교’
취지: 단백질에 관심이 있는 수학, 물리, 화학, 생명과학, 생명정보학, 전산과학 등 분야의 학생들에게 신약개발을 통한 질병치료에 필요한 원천기술인 단백질 구조예측 전반에 관해 소개.
중요사항: 생명현상의 기본적 역할을 하는 단백질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과 그 구조와 기능을 분석 및 예측하기 위한 각종 알고리듬을 소개하고 실제 알고리듬의 구현을 통해 ‘단백질의 분석 및 예측 기법’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008년 1월 28일~1월 31일: 제5회 고등과학원-아태이론물리센터 주최 ‘통계물리 겨울학교’
취지: 대학원생과 젊은 연구자들에게 통계물리분야의 최신 주제를 소개하고 전통적인 통계역학적 방법론을 가르쳐 대학원 교과과정에서 배운 내용과 최신 연구주제 사이에 놓여있는 간극을 메우려고 한다.
중요사항: 생물학적 진화모형에 대한 통계물리학적 접근 방법을 소개하고, DNA와 같은 자체복제분자들의 진화, ‘생태계 공진화 현상’ 등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논의한다. 또한 ‘유체역학’, ‘그물망물리’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2008년 2월 1일~2월 2일: 고등과학원 주최 양자정보과학 겨울학교
취지: 양자정보과학의 기초지식과 최신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양자컴퓨터, 양자암호, 양자광학 등을 쉽게 설명한다. 가능성으로만 거론되던 양자암호는 곧 실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고등과학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공동노력으로 2005년 본격적인 25km 양자암호 실험에 성공하였다.
2008년 2월 17일~2월 22일: 고등과학원 주최 대수기하 겨울학교
취지: 고차원 대수기하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 중 하나는 ‘극소모델프로그램(Minimal Model Program, MMP)’이다. 이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예상 중 하나인 ‘표준환의 유한 생성(Finite generation of canonical rings)’이 최근에 해결됨으로써 이 프로그램은 앞으로 대수기하 연구에 필수적인 도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의 방대한 이론은 초보자들이 접근하기에 어렵다. 본 겨울학교에서는 이 프로그램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유지로 가와마타(Yujiro Kawamata) 교수를 초청하여 MMP에 대한 기본지식을 전달하는 강연을 들을 기회를 제공하고, 이 강연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몇 개의 보조 세미나도 개최한다.
중요사항: MMP는 고차원 대수 다양체의 기본 골격을 설명해주는 프로그램이다. 가와마타 교수는 유명한 ‘가와마타-휘벡 소멸정리(Kawamata-Viehweg vanishing theorem)’등 MMP 프로그램의 구성에 초석이 된 여러 정리를 증명하였다.
고등과학원 개요
고등과학원은 한국의 기초과학(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1996년 10월에 설립된 과학기술부 산하 출연연구기관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순수기초과학 연구기관이다. 현재 고등과학원에서는 수학부, 물리학부, 계산과학부의 세 학부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 학부에는 세계적인 석학교수를 포함한 교수진과 젊고 유능한 연구원들이 각각의 분야에서 창의적 과제 중심의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활발한 국제 학술행사 및 세미나, 그리고, 방문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의 최신 연구를 국내학자들에게 소개하고 상호 교류함으로써 국내 기초과학의 선도적 역할 및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ias.re.kr
연락처
홍보담당 김윤희 02-958-3747 011-373-2402 Fax: 02-958-3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