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대제 장관, 주요 통신업체 CEO들과 통신장애 대책 논의

서울--(뉴스와이어)--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은 3. 3(목) 07:30 팔레스호텔(반포동 소재)에서 주요 유무선 기간통신사업자와 조찬간담회를 개최하여 예기치 못한 통화량 폭주로 인한 통신장애 발생에 대비한 방지대책을 논의하고, 이어서 2.28일 장애발생 지역의 하나인 남수원전화국을 방문하였다.

이번 간담회에는 KT, 하나로텔레콤, 데이콤, SK텔레콤, KTF, LG텔레콤 CEO와 종합유선방송협의회 회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및 통신사업자연합회 부회장이 참석하였다.

진대제 장관은 2.28(월)에 발생한 KT의 통신장애는 예기치 못한 통화량 급증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발생한 것이지만, KT가 민영화이후 주주이익을 고려하여 트래픽이 점차 감소하는 유선전화분야에 설비투자를 게을리한 점도 한 원인으로 지적했다.

아울러, 성실하고 명쾌한 원인분석을 모든 통신사업자들이 공유하여 동일한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할 것을 당부하였다.

KT 이용경 사장은 통신장애에 대한 대책과 관련하여 통신망 생존성 확보차원에서 호폭주시에도 112와 119등 긴급통화의 우선소통 및 트래픽 조기경보체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하고, 문제가 발생된 수도권 및 영남권에는 중계교환기 증설등을 위해 200억원을 조기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장기적으로는 정부, ETRI, 학계등으로 대책반을 구성하여 정량적인 원인분석을 통해 설비여유율의 확대 및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한 망의 재설계등 장기적인 종합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진대제 장관은 최근 과열조짐을 보이고 있는 초고속인터넷 시장상황과 관련하여 고가의 경품제공등과 같은 사업자들의 불법적인 가입자 유인행위는 수익성 악화와 서비스 품질저하로 이어져 장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앞으로 이러한 과열경쟁보다 금번 2.28일 통신장애를 계기로 서비스 품질제고 및 설비투자 확대에 주력할 것을 제안하여 모든 사업자들이 동의하였다.

아울러 불법적인 영업행위가 적발될 시에는 과징금 부과 또는 시정명령등의 제재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보통신부 개요
정보통신부는 1884년 창설된 우정총국를 모체로 우편, 우편환금, 전기통신, 국민생명보험, 우편연금 및 정부취급금의 출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1948년 11월에 설립된 체신부가 각 부처에 분산된 정보통신산업을 일원화하여 국가발전 전략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1994년 12월 정보통신부로 확대 개편되어 정보화, 정보통신, 전파방송관리, 우편·금융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ic.go.kr

연락처

공보관실 750-281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