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46.4% “복권은 나눔 행위”
한국갤럽조사연구소의 최근 설문 조사에 따르면, 복권사업을 ‘나눔 행위’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중 46.4%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50.3%의 응답자들이 ‘복권은 당첨이 되지 않아도 좋은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응답자 중 50.5%가 ‘복권은 삶의 흥미와 재미를 더해 주는 상품’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 측은 ‘복권이 공공복지를 위한 유익한 제도라는 인식이 국민들 사이에 자리 잡아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 소속 복권위원회는 이러한 인식 변화는 복권기금 사업이 공공복지에 주력해 온 결과로 판단된다며, 앞으로도 공공사업을 통한 나눔과 기부의 문화를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복권위원회는 복권 및 복권기금법에 따라 매년 약 1조원의 복권기금수익금을 저소득층 주거안정사업, 장애인·여성·청소년 지원사업, 문화예술진흥 및 문화유산보존사업, 재해재난구호사업 등에 사용하고 있다.
한편 복권 관련 인식 공감도의 종합 평가에 있어서는 과반수가 넘는 52.5%가 ‘복권이 있어서 좋다’고 답했으며, 남자이거나 복권 구입 횟수가 높을수록 그에 대한 공감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자이거나 50 세 이상 계층에 있어서는 복권 구입 정도가 낮을수록 복권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복권 구입자와 비구입자 간의 인식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흥미로운 조사 결과]
“복권 기금 희망 사용처, 불우이웃돕기/저소득 가정 지원 가장 높아(24.8%)” - 이외에 ‘장애인 복지사업(13.6%)’, ‘결식아동지원(11.9%)’, ‘사회 소외계층 지원(10.0%) 등의 순으로 나타남.
“복권 구입 선호도는 로또복권이 단연 높아(98.3%)” - 복권 구입자 중 로또 복권 구입자가 98.3%를 차지하였으며, 한편 복권 구입 경험에 근거한 조사 결과 복권 구입은 로또복권(38.5%), 스피또(1.2%), 팝콘(0.9%), 인터넷복권(0.1%) 순으로 나타남.
“복권 구입자 3명 중 1명은 매주 구입” - 복권 구입자 대상 조사 결과 3명 중 1명(32.2%)이 ‘매주 구입’하고 있으며, ‘한달에 한 번 이상’ 복권 구입자는 70% 가량으로 나타남. 한편 복권 매주 구입자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19~29세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30% 이상으로 나타남.
이번 조사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거주의 만 19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지역별 인구수 비례 무작위 추출을 통해 유표표본 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표본오차는 95%의 신뢰도에 ±3.1%로 분석되었다.
웹사이트: http://www.bokgwon.go.kr
연락처
기획재정부 김주영 사무관 02)2150-7813
GIGO파트너즈 김판희 팀장 02)2084-9111
이 보도자료는 국무총리 복권위원회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09년 6월 21일 1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