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WiBro, DMB 서비스’ 아·태 전기통신협의체 무선통신 포럼에서 문의 쇄도

서울--(뉴스와이어)--정보통신부가 중점 추진하고 있는 와이브로 및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서비스가 아시아-태평양 전기통신협의체(APT, Asia―Pacific Telecommunity)의 무선통신 포럼(AWF, APT Wireless Forum)에서 각국의 대표들로부터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밝게 하고 있다.

아태 무선통신포럼(AWF, 의장 김영균 삼성전자 전무)은 아태지역의 신규 무선서비스 촉진과 한정된 전파 자원을 효율적 활용을 도모하고, 우리나라 IT산업의 전략적 해외진출 모색하고자 우리나라 주도에 의해 창설된 회의이다.

정보통신부는 3.4일부터 3.5일까지 태국(방콕)에서 개최되는 아태 무선통신포럼(AWF)에 주종옥 주파수정책과장을 수석대표로 산학연 20여명의 대표단을 파견하여,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와이브로, 지상파 DMB를 적극 홍보하여 해외진출을 도모하였다.

금번 아태 무선통신포럼(AWF) 회의는 △IMT-2000과 고정무선접속(FWA, Fixed Wireless Access)의 공유, △공공안전과 재난구조 시스템, △인접국가간의 지상파 간섭, △UWB(Ultra-Widebad) 와 전자태그(RFID)간의 공유 및 △광대역무선접속(BWA, Broadband Wireless Aceess) 주파수확보 등 최근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루어 아태지역 공동보고서를 발표하였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회의이나 유럽 및 미주 등 총 37개국에서 200여명이 참여함으로써 세계 IT산업의 관심이 아시아로 집중되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는 회의였다.

금번회의에서는 우리나라에서는 지상파 DMB 및 와이브로 서비스 소개 등을 통해 선진기술을 보유한 한국과 아태지역이 서로 협력해 IT공동발전을 이뤄나가자고 제의하였으며, DMB단말기(지상파, 위성) 시연이후 많은 외국 대표 및 업체 등에서 기술 협력에 대한 문의가 쇄도하여 국내 IT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 정보통신부는 오는 6월초 서울에서 개최되는 아태 무선통신 사업자 포럼(APT Operator Forum)과, 9월초 중국에서 개최되는 제3차 아시아-태평양 전기통신협의체 무선통신포럼(AWF) 및 전자태그(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워크숍에서도 와이브로, DMB를 시연하는 한편, 국내 전자태그(RFID)기술을 체계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국내 IT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 APG(Aisa-Pacific Telecommunity Conference Preparatory Group meeting) : 2007년도에 개최되는 WRC회의에 대응하여 ‘07년도까지 매년 1~2번의 회의를 개최

※ AWF(APT Wireless Forum) : 기존 "IMT-2000포럼을 “AWF”으로 변경 설립할 것을 제27차 APT 관리 이사회에 제안(2003.10. 마카오)하여 ‘04.9월 부산에서 제1차 회의를 개최

※ WRC(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 : 세계각국의 주관청이 2~3년 간격으로 모여 주파수 분배 등 주요 이슈를 논의

정보통신부 개요
정보통신부는 1884년 창설된 우정총국를 모체로 우편, 우편환금, 전기통신, 국민생명보험, 우편연금 및 정부취급금의 출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1948년 11월에 설립된 체신부가 각 부처에 분산된 정보통신산업을 일원화하여 국가발전 전략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1994년 12월 정보통신부로 확대 개편되어 정보화, 정보통신, 전파방송관리, 우편·금융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ic.go.kr

연락처

공보관실 750-281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