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DC? LSD? 그게 대체 뭐야…좀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자동차 용어들
중고차 정보 사이트 카즈(http://www.carz.co.kr 대표 : 문건웅)의 최경욱 연구원의 설명을 통해 간략하게 그 뜻을 살펴보도록 하자.
※ ABS
ABS는 antilock brake system 의 약자로 브레이크가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장치이다. 빗길, 눈길 등의 미끄러운 길이나 고속에서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으면 스티어링휠을 움직여도 차의 방향의 바뀌지 않을 때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여주는 것이다. ABS가 없어도 브레이크를 짧게 끊어 밟으면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으나 숙련된 드라이버가 아니라면 급작스러운 상황에서 브레이크를 짧게 끊어 밟는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이 ABS는 매우 효과적인 장치로 자동차에 장착이 되어 있을 때에는 사고위험이 상당부분 덜어지기 때문에 보험료도 내려간다.
※ EBD
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의 약자로 보통 EBD-ABS 란 이름으로 ABS와 같이 장착된다. EBD는 전자식 제동력 분배장치로 차량의 적재무계와 감속에 의한 무게이동까지 계산하여 차가 앞으로 엎어질 것 같은 스릴 넘치는 주행은 경험하기 힘들게 되었다.
※ VDC, ESP
자동차 용어가 헷갈리는 이유 중 다른 하나는 동일한 기능을 제조사마다 다르게 부르는 것이다. 이 VDC 또한 마찬가지라 현대,기아,삼성에서는 VDC로 부르지만 대우와 해외제조사는 ESP로 부르고 있다. 기능은 자체자세제어로 동일핟. 자체자세제어란 말 그대로 차량을 안정된 자세로 잡아주는 장치로 커브길, 미끄러운길, 장애물 출현 시 차량의 바퀴, 조향 휠, 차체 중심에 장착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차량이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주행 중 불안정한 자세가 되면 자동으로 이를 보안하여 준다. 역시 안전에 매우 중요한 장치로 북미와 유럽에서는 ABS와 더불어 반드시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 LCD
Limited Slip Differential 의 약자로 차동 제한장치이다. .SUV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옵션으로 구동륜의 한쪽타이어가 진흙이나 빙판길에서 못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장치이다. 험로주행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면 필요한 장치이다.
※ TCS
Traction Control System 의 약자로 구동력 제어 시스템이다. 출발과 가속시에 타이어가 공회전하지 않도록 컨트롤하며 주행 안정성을 높여주는 시스템으로써 TCS가 장착된 차량은 영화등에서 급출발시 타이어가 헛돌며 연기를 뿜어 내는 장면은 따라 해볼 수 가 없게되었다.
그렇다면 이렇게 약자로 표현된 전문용어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을까? 한 마디로 말하면 예스다. ABS 등과 같은 자동차장치들은 단순한 편의가 아닌 운전자의 안전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는 장치이다. 북미와 유럽에서는 ABS와 VDC 등의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판매를 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이 통과되어 단계적 시행 중에 있고 국내에서는 장착여부에 따라 보험료에 영향을 주고 있다.
카즈 최경욱 연구원은 "중고차매매를 할 때 차량 가격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을 하거나 카즈처럼 자동차 용어사전이 있는 컨텐츠를 활용하면 쉽게 그 뜻을 이해할 수 있다.” 라고 그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카즈 개요
카즈(Carz)는 중고차 정보제공사이트로 1999년 설립되어 지난 15년간 다양한 중고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01년 국내 최초로 텍스트 방식에서 이미지 스타일로 중고차정보 제공을 선도한 카즈는 ▲다양한 조건으로 손쉽게 중고차를 검색할 수 있는 '중고차 찾기' ▲신속하게 타던 내 차를 최고가에 팔 수 있는 '내차 팔기'▲동행서비스, 흥정서비스 등 중고차 구입을 도와주는 '남다른 고객센터' 서비스 등 일방적인 정보제공사이트에서 더 나아가 소통하는 중고차사이트를 지향하고 있다. 다양한 중고차 매물 정보는 물론 다년간 내차 판매 문의 1위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carz.co.kr
연락처
카즈 홍보팀 http://www.carz.co.kr , e-mail :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