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한국위원회, 오는 18일 제6차 ‘유네스코 청년포럼’ 개최...‘88만원 세대’문제 해결을 위한 열띤 대화의 장 예상
‘88만원 세대’, ‘이태백’, ‘공시족’ 등은 2009년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청년들에게 붙여진 우울한 이름이다. 전 세계적인 경제위기와 정신적 상실의 세계화 속에서 이제 막 사회에 진입하려는 청년들은 실업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며 설 자리를 잃고 무력감을 느끼고 있다.
청년들이 청년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힘은 청년을 포함한 사회의 이해당사자들 간 대화를 통한 ‘소통과 연대’에서 나온다.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2007년부터 유네스코 청년포럼을 통해 청년의 목소리를 우리 사회에 전달해왔다.
이번으로 6번째를 맞는 유네스코 청년포럼은 한국 사회에서 청년들이 살아가며 느끼는 청년문제의 원인과 대안을 기성세대와 청년세대가 함께 찾는 자리이다.
‘청년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사회적 대화’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에서는 전택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의 개회사, 임해규(한나라당)·최영희(민주당) 의원의 축사, 강대근 전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원장의 기조강연, 주제발표 및 원탁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원탁토론에서는 박해선 숙명여자대학교 총학생회장, 김현진 청년인턴 등 청년들이 조한혜정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유병선 경향신문 논설위원, 정일용 교육과학기술부 미래인재정책관 등 정부 및 민간 분야의 각계 인사들과 자신들의 고민을 이야기하고 함께 대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아울러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희망청과 공동으로 ‘청년 새 이름 찾기’ 공모전 - '2009년, 청년은 OOO세대다'를 통해 청년들이 직접 한국 청년의 새 이름을 짓도록 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에는 누구나 참가 가능하며, 참가 신청은 이메일을 통해 받는다.
참가신청메일:youth@unesco.or.kr
<행사 세부일정>
12:30 - 13:00 등 록
13:00 - 13:10 개회사: 전택수(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
13:10 - 13:20 축 사: 임해규(한나라당 국회의원)/최영희(민주당 국회의원)
<1부> 한국사회에서 청년으로 살아가기
13:20 - 13:50 기조강연: 한국사회에서 청년으로 살아가기
(강대근, 前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원장)
13:50 - 15:20 주제발표
- 발표1: 청년의 ‘행복한 취업’을 위해
(최영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노동연계연구실 실장)
- 발표2: 한일 청년문제의 새로운 자각과 대처
(김종휘, 하자센터 부센터장/노리단 단장)
- 발표3: 위기의 시대, 실종된 청년성의 새로운 모색
(엄기호, 인권연구소 ‘창’ 연구활동가)
- 발표4: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청년의 지역사회 참여
(한지섭, 인디고서원 활동가)
15:20 - 15:40 휴식 및 영상 관람(영상제작: 희망청)
<2부> 청년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사회적 대화
15:40 - 16:00 공모결과 발표
- 한국 청년 새이름 찾기
- 한국 청년 5대 의제
16:00 - 17:50 원탁토론: 청년의 제자리 찾기
- 사회: 이선재(유네스코한국위원회 청년팀장)
- 토론자: 김종휘(하자센터 부센터장/노리단 단장)
김현진(청년인턴)
박해선(숙명여자대학교 총학생회장)
엄기호(인권연구소 ‘창’ 연구활동가)
유병선(경향신문 논설위원)
정일용(교육과학기술부 미래인재정책관)
조한혜정(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최승아(한국외국어대학교 이란어과 재학중)
한지섭(인디고서원 활동가)
17:50 - 18:00 폐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개요
한국은 1950년 6월 14일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열린 제5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55번째 회원국으로 유네스코에 가입했으며, ‘유네스코 헌장’의 권고에 따라 1954년 1월 30일 유네스코한국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유네스코 본부 및 회원국들과 교육, 과학, 문화, 커뮤니케이션, 청소년 분야 내 정보 교환 및 국내외 협력을 통해 유네스코의 이념과 목표를 달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네스코 민간 활동 지원과 더불어 국제회의, 워크숍, 출판 활동 등을 통해 국내 학문과 문화 발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한국 문화와 전통, 국내 학술 연구 성과를 해외에 소개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unesco.kr
연락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홍보출판팀 오혜재 02-755-1151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