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팔리고 있는 옵티마·쎄라토…자동차 수출명의 비밀”
브랜드 확립을 위한 선택
기아자동차는 최근 K5의 유럽 지역 수출명을 ‘옵티마’로 결정했다. 그런데 옵티마는 K5의 전 모델인 로체의 미국 수출명이기도 하며,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에서 출시된 기아의 중형차 옵티마도 있었다. 결국 옵티마는 옵티마-로체-K5로 이어지는 기아의 중형차 라인을 해외 소비자에게 확실하게 인식시키기 위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기아 준중형차 포르테의 수출명은 쎄라토다. 포르테는 2003년 출시돼 2008년까지 생산된 쎄라토의 후속 모델로 당시 쎄라토의 미국 수출명은 스펙트라였다. 스펙트라가 수출명을 내수명과 동일하게 썼다는 것을 고려하면 스펙트라-쎄라토-포르테로 이어지는 기아의 준중형 라인의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전 모델의 내수명을 수출명으로 사용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GM대우의 중형차 토스카는 수출명이 시보레 에피카인데 이것은 토스카의 이전 모델인 매그너스의 수출명과도 동일하다. 역시 매그너스-토스카로 이어지는 중형차 라인을 익숙하게 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다.
모델명이 이어지는 경우 일반적으로 브랜드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카즈 박성진 데이터리서치 팀장은 “이름을 이어가는 건 대부분 히트모델의 브랜드 가치를 이어가기 때문인데, 그렇다보니 내수시장에서도 이름을 이어간 모델의 중고차시세가 더 안정되어 있다. 쏘나타, 아반떼, 그랜저를 비롯 쏘렌토, 스포티지, 투싼, SM5, 포터 등이 대표적이다”이라고 말했다.
수출지역의 선호도에 따른 변경
내수용 자동차 이름이 해외에서는 나쁜 의미이거나 현지인들의 선호도에 따라 새 이름을 찾는 경우도 많다. 기아의 SUV 카니발은 인육을 먹는 풍습을 가리키는 ‘카니발리즘’과 발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수출명이 미국 애리조나의 고급 휴양도시인 세도나로 결정됐고 지금은 단종된 현대자동차의 투스카니도 남미에서는 현지의 욕설과 비슷하다는 이유로 쿠페라는 이름을 사용했었다.
지역을 고려한 선택
자동차의 수출명이 지역마다 다르기도 하다. 쌍용자동차의 로디우스는 유럽에서는 로디우스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지만 아시아와 아프리카, 중남미 등 비영어 국가들에서는 발음이 쉬운 스타빅으로 불린다. GM대우의 라세티는 미국시장에서는 스즈키 포렌자로, 캐나다 시장에서는 시보레 옵트라로 불렸다. 시보레 에피카로 불렸던 매그너스 역시 유럽 시장에서는 에반다로 불렸다.
이처럼 브랜드의 모델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에서는 다른 차명을 썼더라도 해외에서는 동일 차명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현지에서 부정적인 의미를 연상케하는 차명을 배제하는 경우도 있다. 현지에 최적화된 차명을 지으려는 자동차 브랜드들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카즈 개요
카즈(Carz)는 중고차 정보제공사이트로 1999년 설립되어 지난 15년간 다양한 중고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01년 국내 최초로 텍스트 방식에서 이미지 스타일로 중고차정보 제공을 선도한 카즈는 ▲다양한 조건으로 손쉽게 중고차를 검색할 수 있는 '중고차 찾기' ▲신속하게 타던 내 차를 최고가에 팔 수 있는 '내차 팔기'▲동행서비스, 흥정서비스 등 중고차 구입을 도와주는 '남다른 고객센터' 서비스 등 일방적인 정보제공사이트에서 더 나아가 소통하는 중고차사이트를 지향하고 있다. 다양한 중고차 매물 정보는 물론 다년간 내차 판매 문의 1위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car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