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작년 비해 12.8%, 7.2% 대폭 증가
이와 같이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 등 어린이 환경성질환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민주노동당은 지난 5월초 어린이날을 맞이하여 ‘아토피 STOP! 프로젝트’를 출범시켰다. 이 프로젝트는 아토피 지역조사사업, 아토피 정책사업, 아토피 지역순회교육사업을 구성되어 있다.
○ 아토피 지역조사사업은 인하대 산업의학과 임종한 교수와 시민환경기술센터에 의뢰하여 진행하며, 4개 지역(3개 대도시, 1개 산업단지)의 초등학교 및 보육시설 총 48개의 실내외 오염 측정 및 아이들의 환경성질환 실태를 조사할 예정이다. 결과는 8월초에 발표될 예정
○ 아토피 정책사업은 아토피법, 아토피예산, 아토피조례, 아토피국감으로 구성된다. 아토피법 사업은 학교 등 실내공기질관리 강화를 위한 학교보건법 개정, 질병관리본부 내 환경보건센터 신설을 위한 법 개정, 어린이 시간대 패스트푸드 광고 규제 등을 위한 법령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며, 아토피예산 사업은 이에 필요한 환경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예산 확보를 추진할 것임. 또한 지자체 차원에서 아토피를 예방, 축소하기 위한 학교 등읠 실내공기질을 관리할 조례 제정도 추진할 예정임
○ 아토피 지역순회 교육사업은 5~6월 동안 대구, 광주, 대전, 부산, 양산, 인천 등 전국 14개 지역을 순회하면서 아토피의 원인, 사회적 예방·해결책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2004년도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 현황
1. 개요
○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는 지난 5월 당소속 보건복지위 현애자 의원실을 통해 보건복지부 산하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심사평가원으로부터 천식(상병기호 : J45), 아토피성 피부염(상병기호: L20)에 관한 2004년도 자료(16개시도별 환자수 및 총진료비)를 제출받았음.
○ 이 자료를 정리·분석한 후, 작년(2004년도 8월)에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가 분석하여 발표한 바 있는 <천식 및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에 관한 전국적 실태 1차 조사보고>의 자료와 비교하여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 유병율 추이 등을 살펴보았음.
2. 전국적 현황
1) 전체 연령대
○ 2004년도에 병원을 방문하여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받은 환자는 각각 227만여명과 123만여명이었으며, 이는 각각 전체 인구의 4.7%와 2.6%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를 위해서 사용된 금액은 1,461억원과 301억원이었음.
○ 이를 2003년도 수치와 비교를 해보면, 환자수는 천식은 12.8%, 아토피성 피부염은 7.2% 증가하였으며, 총진료비는 천식은 3.4%, 아토피성 피부염은 3.2% 증가하였음.
<천식>
구분 / 2000/ 2001 / 2002 / 2003(A) / 2004(B) / B/A(%)
환자수(명) / 1,645,306 / 1,752,800 / 1,902,798 / 2,014,334 / 2,271,270 / 12.8
총진료비(천원) / 138,833,029 / 135,615,313 / 135,549,434 / 141,338,426 /146,196,030 / 3.4
<아토피피부염>
환자수(명) / 1,040,598 / 1,197,420 / 1,163,184 / 1,155,366 /1,238,102 / 7.2
총진료비(천원) / 30,699,977 / 35,829,478 / 30,689,346 / 29,248,820 / 30,183,480 / 3.2
2000년부터 2004년까지의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수의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천식은 2000년부터 2004년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음. 특히 증가율이 급격히 커져서 2003년까지의 한자리수 증감율이 2004년도에는 두자리수 증감율인 12.8%를 보여주고 있음.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우 약간의 감소 현황을 보였던 2003년도과 다르게 2004년도는 7.2%의 증가율을 보여주고 있음. 정부의 환경개선에 대한 약속에도 불구하고,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대표되는 환경성질환은 계속 증가하고 있음.
연령대별 환자수의 비율을 살펴보면, 2003년도도 비슷하게 전체 연령대에서 0~4세의 영유아 연령대에 환자가 집중되어 있는데, 천식 환자의 31.5%,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41.2%가 0~4세의 영유아들임. 역시 천시과 아토피성 피부염의 환경성질환은 어린아이들에게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보여주고 있음.
연령대 / 천식(%)/ 아토피성피부염(%)
4세 미만 / 31.5 / 41.2
5-9세 / 16.4 / 20.3
10세이상 / 52.1 / 38.5
계 / 100.0 / 100.0
2) 0~4세 연령대(영유아)
○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연령대인 0~4세 영유아의 실태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이 연령대의 천식의 유병율은 100명당 26.6명이며 아토피성 피부염의 유병율은 100명당 19명인 것으로 나타났음.
○ 이를 2003년도 수치와 비교를 해보면, 천식은 2003년도 유병율 100명당 22.8명에 비해서 2004년도는 대략 100명당 3.8명이 늘어서 16.7%의 증가율을 보여주고 있음.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우 2003년도 유병율 100명당 17.8명에 비해서 2004년도는 대략 100명당 1.2명이 늘어서 6.7%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음.
<0~4세 영유아 100명당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수 및 증감율>
구분 / 2003년도 / 2004년도 / 증감율
천식22.8명 / 26.6명 / 16.7%
아토피성피부염 / 17.8명 / 19.0명6.7%
3. 지역별 현황(16개 시도별)
1) 0~4세 영유아 연령대의 천식 지역별 현황
○ 0~4세 영유아 연령대에서 100명당 천식 환자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대구 지역으로 33.4명의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작년에 이어서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2003년도에 비해서 12.6%의 유병율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음.
○ 또한 가장 높은 천식 유병율의 증가를 보여준 지역은 서울로서 무려 33.9%의 증가율이 증가되었는데, 작년의 16.5명에서 올해에는 22.1명으로 100명당 5.6명이 증가했다. 한편 경남 지역은 -5.1%의 감소를 보여주었지만, 유병율 자체는 30.0명으로 대단히 높은 수준을 계속 유지하고 있음.
2) 0~4세 영유아 연령대의 아토피성 피부염 지역별 현황
○ 0~4세 영유아 연령대에서 100명당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대전 지역으로 22.5명의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역시 작년에 이어서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2003년도에 비해서 11.4%의 유병율 증가율이 보이면서, 100명당 2.3명이 증가했음.
○ 또한 가장 높은 천식 유병율의 증가를 보여준 지역은 역시 서울과 부산으로 무려 17.2%와 16.9%의 증가율을 보여주고 있는데, 서울의 경우 작년의 18.0명에서 올해에는 20.1명으로 100명당 2.1명이 증가했다. 한편 제주 지역과 경기는 각각 -6.0%와 -2.6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작년에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여준 제주도의 경우는 유병율이 감소하기는 했지만, 100명당 21.8명의 유병율으로 전국에서 2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4. 종합
○ 전국적으로 보았을 때,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의 환자수는 2003년도에 비해서 각각 12.8% 및 7.2%로 대폭 증가했으며, 특히 천식의 경우 증가율이 두자리수를 기록할 만큼 크게 확대되었음.
○ 또한 2000년부터 2004년까지의 5년 동안의 유병율 추이를 살펴보면, 천식의 경우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 자리 잡았으며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우는 소규모의 감소가 있었으나 2004년에는 다시 증가하고 있음.
○ 환경성질환인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병하는 연령대는 10세 이하의 어린이에 집중되고 있어, 환경오염의 피해자가 가장 먼저 생물학적 약자인 어린이가 되고 있다는 점이 다시 확인됨
○ 2004년도에 0~4세 영유아의 100명당 천식 환자는 26.6명으로 영유아 4명당 1명 꼴이며, 100명당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는 19.0명으로 대략 5명당 1명 꼴의 높은 발병율을 높임
○ 한편 지역적으로 볼 때, 대구와 대전이 각각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수의 유병율(각각, 100명당 37.6명, 22.5명)이 가장 높았으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여준 지역은 서울로서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각각 33.9%와 17.2%의 수치를 보여줌
웹사이트: http://www.kdlp.org
연락처
정책연구원 한재각(2077-0622, 011-713-4694, 이메일 보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