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투명성기구, 2011년 국가별 부패인식지수 발표

- 우리나라 청렴도 세계 43위로 네 계단 추락…OECD 34개국 중 27위

- 부패인식지수 3년 연속 하락 또는 정체

뉴스 제공
한국투명성기구
2011-12-01 09:47
서울--(뉴스와이어)--사회의 부패 정도를 나타내는 부패인식지수에서 우리나라가 지난 해보다 네 계단 떨어졌다.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 TI / 본부, 독일 베를린)가 오늘 (한국시간 12월 1일 오전 9시) 발표한 2011년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s Index, CPI)에서 우리나라는 10점 만점에 5.4점으로 지난 해 39위에서 43위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OECD 가입 34개국 중에서는 27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한국투명성기구는 성명을 통해 이런 결과는 “반부패 기관을 통폐합하고 투명사회협약을 중단시킬 때 이미 예견되었던 결과”라며 “무엇보다도 독립적 반부패기관의 복원과 민관협력으로 추진되었던 투명사회협약의 재개, 기업의 선진화된 윤리경영과 투명성 확보, 그리고 반부패 교육 강화를 통한 사회문화의 개선” 등을 요구했다.

국제투명성기구의 부패인식지수는 공무원과 정치인 사이에 부패가 어느 정도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말하며, 조사대상 국가들에 거주하는 전문가를 포함하여, 전 세계의 기업인과 애널리스트 등의 견해를 반영하고 있다. 국제투명성기구는 올해 CPI 발표에서 점수에 반영된 총 17개의 원천자료를 공개하였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13개 자료가 적용되었다.

이 자료 중 하나인 홍콩의 정치경제위험자문공사(Political and Economic Risk Consultancy, Ltd.)에서 지난 2011년 3월 23일 발표한 <아시아 지역부패 지표>(Asian corruption update)에 한국의 부패지수는 아시아 16개국 중 9위로 ’10년 대비 3단계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올해 우리나라가 좋은 점수를 받기는 힘든 것으로 예상되어 왔다. (참고 - 한국 2011년 CPI에 사용된 원천 자료 : BF_SGI, BF_TI, EIU_CRR, GI_CRR, IMD2010, IMD2011, PERC2010, PERC2011, PRS_ICRG, TI_BPI, WEF2010, WEF2011, WJP_ROL)

그간 우리나라는 16년간의 조사에서 4점대를 벗어나지 못하다가, 2005년 5점대로 진입한 후, 2008년에 이르러서야 겨우 5.6점으로 올라섰으나, 이명박 정권 들어와 2년 연속 0.1점씩 점수가 하락하다가 올해는 5.4점으로 정체된 모습을 보였다.

한국투명성기구는 성명을 통해, “이는 최근 몇 년간 나타난 우리 사회의 부패 불감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반부패에 대한 인식 및 정책의 부재 속에 특권층 비리, 스폰서 검사로 대표되는 사정기관의 부패스캔들, 대통령 측근비리 등 우리사회 전반의 부패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더욱이 양극화 등으로 서민의 고통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이명박 정권의 친기업 정책 유지로 인한 윤리의식의 실종은 관행적 부패가 온존한 우리사회에 지능형 부패가 창궐할 수 있는 조건을 가져왔다”고 현 추세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이번 조사에 새로 포함된 나라는 북한, 바하마,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수리남 등 다섯 나라로 조사대상국은 183개국으로 늘었다. 국제투명성기구는 CPI가 지난해보다 올해 향상된 나라로 노르웨이, 대만, 르완다, 조지아, 차드를 꼽았고 악화된 나라로 오만과 아이티를 꼽았다.

올해의 1위는 9.5점을 얻은 뉴질랜드가 차지했고 덴마크, 핀란드가 공동 2위, 스웨덴이 4위를 기록하였다. 이들 상위그룹 국가들은 해마다 큰 변동 없이 9점대의 높은 점수를 유지하고 있는데, 높은 투명성, 공정한 사회, 건강한 거버넌스를 갖추고 있다는 특성을 띄고 있다.

3개의 원천자료에 포함되어 올해 처음 CPI 평가에 포함된 북한은 1.0점으로 소말리아와 함께 183개 국가 중 공동 182위로 최하위를 기록하였고, 미얀마와 아프가니스탄이 1.5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

OECD 34개국 중 한국은 27위(2010년 30개국 중 22위)를 차지하여 경제력에 비해 여전히 낮은 등급에 머물렀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싱가포르(9.2점)와 홍콩(8.4점)이 꾸준히 상위를 차지했으며, 일본은 지난해 7.8점에서 8.0점으로 8점대에 올라섰으며 우리나라와 비슷한 점수대에 있던 대만도 지난해 0.2점, 올해 0.3점이 상승하여 6.1점으로 6점대에 올라섰다.

최근 재스민 혁명이 발생한 아랍 국가들은 대부분 이번지수에서 낮은 점수대인 4점 이하를 받았다. 재스민 혁명 이전에, 국제투명성기구는 보고서를 통해서 이 지역이 족벌주의 뇌물, 특혜가 일상사에 깊이 배어든 관계로 기존의 반부패법의 영향이 거의 없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유럽국가들 중에서 부채 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나라들은, 부분적으로 공공기관이 뇌물과 탈세문제를 해결 하지 못한 것이 이번 부채위기의 핵심요인이었으며, 유럽연합국가들 중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국제투명성기구는 논평을 통해 현재 세계에서 벌어지는 시민들의 시위의 원인은 부패, 경제적 불안정에 기인하는 것이 많다고 경고했으며, 시민들은 정치지도자나 공공기관의 투명성과 책무성의 강화가 더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투명성기구 위겟 라베르 회장은 “금년 우리는 가난하건 부유하건 상관없이 시위자들의 현수막에는 부패가 명시되어 있음을 목도하고 있다. 부채에 시달리는 유럽국가이건 아랍 국가이건 모두 새로운 정치적 시대에 진입했다. 각국 정치지도자들은 보다 나은 정부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야한다”고 강조했다.

한국투명성기구 김거성 회장은 우리나라의 부패인식지수 추락에 대해 “이는 반부패 기관을 통폐합하고 투명사회협약을 중단시킬 때 이미 예견되었던 결과”라며 “무엇보다도 독립적 반부패기관의 복원과 민관협력으로 추진되었던 투명사회협약의 재개, 기업의 선진화된 윤리경영과 투명성 확보, 그리고 반부패 교육 강화를 통한 사회문화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11년 부패인식지수 참고자료

한국의 부패인식지수(CPI) 변화 추이(1995~2011)

연 도 CPI지수 순위 조사대상국
1995 4.29 27위 41개국
1996 5.02 27위 54개국
1997 4.29 34위 52개국
1998 4.2 43위 85개국
1999 3.8 50위 99개국
2000 4.0 48위 101개국
2001 4.2 42위 91개국
2002 4.5 40위 102개국
2003 4.3 50위 133개국
2004 4.5 47위 146개국
2005 5.0 40위 159개국
2006 5.1 42위 163개국
2007 5.1 43위 180개국
2008 5.6 40위 180개국
2009 5.5 39위 180개국
2010 5.4 39위 178개국
2011 5.4 43위 183개국

2011년 부패인식지수(CPI 2011) 발표에 즈음한 한국투명성기구 성명

우리나라 부패지수에서 네 계단 추락
“안이한 반부패 인식과 정책부재 탓”

오늘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가 발표한 2011년도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s Index, CPI)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0점 만점에 5.4점으로 지난 2009년과 2010년에 0.1점씩 하락한데 이어 정체된 점수를 받았다.

이는 지난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시절의 개선 추세가 꺾여 버리고 5점대 정체와 하락세가 고정되는 안타까운 모습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조사 대상 183개국 중 43위로 순위로 보면 지난해보다 네 계단 추락한 것으로 했다.

우리나라 부패인식지수의 연이은 하락과 정체는 최근 몇 년간 나타난 우리 사회의 부패 불감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반부패에 대한 인식 및 정책의 부재 속에 특권층 비리, 스폰서 검사로 대표되는 사정기관의 부패스캔들, 대통령 측근비리 등 우리사회 전반의 부패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더욱이 양극화 등으로 서민의 고통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이명박 정권의 친기업 정책 유지로 인한 윤리의식의 실종은 관행적 부패가 온존한 우리사회에 지능형 부패가 창궐할 수 있는 조건을 가져왔다.

국민들은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정권과 사회지도층의 부패불감증과 탈법에 대해 분노를 넘어 냉소를 보내고 있다. 수차례 터져 나온 스폰서검사 사건은 법집행과 사정기관에 대한 신뢰를 뿌리 채 흔들었으며, 인선과정에서 위법이 드러난 고위공직자가 그대로 임명되는 행태가 이어지고 급기야 탈법적인 내곡동 대통령 사저마련 과정이 밝혀져 국민들을 허탈하게 하였다.

지금과 같은 상황을 초래한 가장 큰 원인은 투명하고 공정한 사회를 위한 인식의 부재와 그에 따른 반부패정책의 실종이다. 부패로 인한 부작용을 우습게 생각하고 스스로에게 관대한 잣대를 적용할 때 돌이킬 수 없는 폐해와 고통이 뒤따른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반부패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투명사회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들을 추진하여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발전을 위한 전망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에 우리 한국투명성기구는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1. 유엔반부패협약을 이행하여 ‘독립적’ 반부패기관을 복원하여야 한다.
2. 반부패를 위해 각계각층이 함께 참여, 노력, 이행하는 ‘투명사회협약’을 복원하여야 한다.
3. 최근 스폰서 검사, 비리연루 등으로 말미암아 명예와 권위가 땅에 추락한 검찰, 감사원, 금감원 등 사정 감독기관의 비리 재발방지를 위하여 공직부패수사처 설치 등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완과 함께 정치적 중립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4. 인사청문회나 사면 등에서 탈법과 부패에 대해 면죄부를 주는 일을 금하고 명백한 위법 탈법이 드러난 이들을 배척함으로써 근본적인 윤리적 기준을 회복하여야 하며, 학교와 사회의 반부패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5. 지배구조 개선 없는 홍보용 사회공헌 활동으로는 더 이상 기업의 부패상을 감출 수 없으므로 기업은 선진화된 윤리경영과 투명성 확보로 국제경쟁력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기업부패방지법을 제정하여야 한다.

2011년 12월 1일
한국투명성기구/국제투명성기구 한국본부

국제투명성기구 보도자료(엠바고 2011년 12월 1일 09시 01분)
국제투명성기구
2011 거버넌스의 위기

2011년의 데모, 시위는 정치와 공공부문의 부패에 대한 시민들의 분노를 보여줌

2011년 12월 1일, 베를린 - 부패는 전 세계 너무 많은 나라에 걸쳐서 전염병처럼 번지고 있다고 국제투명성기구는 오늘 발표한 부패인식지수를 통해서 밝혔다. 이 지수에 의하여 어떤 나라의 시민들은 공적자원의 남용, 뇌물, 밀실에서의 정책결정 같은 부패행위로 인해 정부로부터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투명성기구는 현재 세계에서 벌어지는 시민들의 시위나 데모의 원인은 종종 부패, 경제적 불안정에 기인하고 있다고 경고했으며, 시민들은 정치지도자나 공공기관의 투명성과 책무성의 강화가 더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투명성기구 회장 위겟 라베르 박사는 “금년 우리는 시위자들이, 가난하건 부유하건 상관없이, 현수막에 부패를 명시하고 있다. 부채에 시달리는 유럽국가이건 아랍국가이건 모두 새로운 정치적 시대에 진입했다, 각국 정치지도자들은 보다나은 정부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1 부패인식지수:결과

이 지수의 점수는 세계 183개국이 0점(아주 부패)으로부터 10점(아주 청렴)으로 평가되었으며 이 지수는 공공부문부패 수준의 인식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지수는 17개의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며 이 자료는 반부패법의 집행여부, 일반인의 정보접근권, 이해충돌여부 등의 요소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3분의 2 이상 국가의 점수는 5점 이하

뉴질랜드 1위에 이어, 핀란드, 덴마크가 2-3위로 뒤를 이었고, 소말리아와 북한(이번 지수에 처음 포함)이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국제투명성기구 이사 코보스 디 스와드는 “세계시민들이 자국 정부에 책무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2011년 결과는 더 큰 투명성을 추구하는 저항 할 수 없는 힘으로 작용했다. 높은 점수를 받은 나라들이 보여준 것은,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만약 그 노력이 지속적이라면, 결국 성공할 것이고 국민들에게도 이익이 된다”고 말했다.

최근 재스민혁명을 일으킨 아랍 국가들은 대부분 이번지수에서 낮은 점수 때, 4점 이하를 받았다. 재스민혁명 이전에, 국제투명성기구는 보고서를 통해서, 이 지역이 족벌주의뇌물, 특혜가 일상사에 깊이베어든 관계로 기존 반부패법의 영향이 거의 없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유럽국가들 중에서 부채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나라들은, 부분적으로 공공기관이 뇌물과 탈세문세를 해결하지 못한 것이 이번 부채위기의 핵심요인 이었으며, 이 나라들은 유럽연합국가들 중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국제투명성기구는 반부패운동에 선도적인 국제시민사회단체다.

참고지표

- 세계부패지표(Global Corruption Barometer, GCB): 90개국 7만 명 이상에게 부패에 대한 경험과 인식조사

- 뇌물공여지수(Bribe Payer index, BPI): 선도적 수출국가 기업들의 외국에서 뇌물공여 성향에 대한 인식순위. 이 지수는 기업임원들이 외국에서 비즈니스를 하며 뇌물을 주는 행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그 기초로 하고 있다.

- 세계부패보고서(Global Corruption Report. GCR): 구체적 부문이나 거버넌스 이슈와 관련된 부패문제에 대한 조사보고서. 이 보고서는 전문적인 연구와 분석, 사례를 제공 해 준다.

- 국가반부패시스템평가(National Integrity System assessments, NIS): 국가 내 연속적 연구로 핵심기관들의 강점과 약점을 광범위하게 평가함으로써 좋은 거버넌스와 청렴성을 증진시킨다(행정, 입법, 사법, 반부패기관 등)

2011년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

순위 국 가 CPI 점수 2010 CPI 점수/순위 2009
1 뉴질랜드 9.5 9.3 1 9.4
2 덴마크 9.4 9.3 1 9.3
2 핀란드 9.4 9.2 4 8.9
4 스웨덴 9.3 9.2 4 9.2
5 싱가포르 9.2 9.3 1 9.2
6 노르웨이 9.0 8.6 11 8.6
7 네덜란드 8.9 8.8 6 8.9
8 호주 8.8 8.7 8 8.7
8 스위스 8.8 8.7 8 9.0
10 캐나다 8.7 8.9 6 8.7
11 룩셈부르크 8.5 8.5 11 8.2
12 홍콩 8.4 8.4 13 8.2
13 아이슬란드 8.3 8.5 11 8.7
14 독일 8.0 7.9 15 8.0
14 일본 8.0 7.8 17 7.7
16 오스트리아 7.8 7.9 15 7.9
16 바베이도스 7.8 7.8 17 7.4
16 영국 7.8 7.6 20 7.7
19 벨기에 7.5 7.1 22 7.1
19 아일랜드 7.5 8.0 14 8.0
21 바하마 7.3 신규
22 칠레 7.2 7.2 21 6.7
22 카타르 7.2 7.7 19 7.0
24 미국 7.1 7.1 22 7.5
25 프랑스 7.0 6.8 25 6.9
25 세인트루시아 7.0 신규
25 우루과이 7.0 6.9 24 6.7
28 아랍에미리트 6.8 6.3 28 6.5
29 에스토니아 6.4 6.5 26 6.6
30 사이프러스 6.3 6.3 28 6.6
31 스페인 6.2 6.1 30 6.1
32 보츠와나 6.1 5.8 33 5.6
32 포르투갈 6.1 6.0 32 5.8
32 대만 6.1 5.8 33 5.6
35 슬로베니아 5.9 6.4 27 6.6
36 이스라엘 5.8 6.1 30 6.1
36 세인트 빈센트 가르든 5.8 신규
38 부탄 5.7 5.7 36 5.0
39 몰타 5.6 5.6 37 5.2
39 푸에르토리코 5.6 5.8 33 5.8
41 카보베르데 5.5 5.1 45 5.1
41 폴란드 5.5 5.3 41 5.0
43 대한민국 5.4 5.4 39 5.5
44 브루나이 5.2 5.5 38 5.5
44 도미니카 5.2 5.2 44 5.9
46 바레인 5.1 4.9 48 5.1
46 마카오 5.1 5.0 46 5.3
46 모리셔스 5.1 5.4 39 5.4
49 르완다 5.0 4.0 66 3.3
50 코스타리카 4.8 5.3 41 5.3
50 리투아니아 4.8 5.0 46 4.9
50 오만 4.8 5.3 41 5.5
50 세이셸 4.8 4.8 49 4.8
54 헝가리 4.6 4.7 50 5.1
54 쿠웨이트 4.6 4.5 54 4.1
56 요르단 4.5 4.7 50 5.0
57 체코공화국 4.4 4.6 53 4.9
57 나미비아 4.4 4.4 56 4.5
57 사우디아라비아 4.4 4.7 50 4.3
60 말레이시아 4.3 4.4 56 4.5
61 쿠바 4.2 3.7 69 4.4
61 라트비아 4.2 4.3 59 4.5
61 터키 4.2 4.4 56 4.4
64 조지아 4.1 신규
64 남아공 4.1 4.5 54 4.7
66 크로아티아 4.0 4.1 62 4.1
66 몬테네그로 4.0 3.7 69 3.9
66 슬로바키아 4.0 4.3 59 4.5
69 가나 3.9 4.1 62 3.9
69 이태리 3.9 3.9 67 4.3
69 마케도니아 3.9 4.1 62 3.8
69 사모아 3.9 4.1 62 4.5
73 브라질 3.8 3.7 69 3.7
73 튀니지 3.8 4.3 59 4.2
75 중국 3.6 3.5 78 3.6
75 루마니아 3.6 3.7 69 3.8
77 감비아 3.5 3.2 91 2.9
77 레소토 3.5 3.5 78 3.3
77 비누아트 3.5 3.6 73 3.2
80 콜롬비아 3.4 3.5 78 3.7
80 엘살바도르 3.4 3.6 73 3.4
80 그리스 3.4 3.5 78 3.8
80 모로코 3.4 3.4 85 3.3
80 페루 3.4 3.5 78 3.7
80 태국 3.4 3.5 78 3.4
86 불가리아 3.3 3.6 73 3.8
86 자메이카 3.3 3.3 87 3.0
86 파나마 3.3 3.6 73 3.4
86 세르비아 3.3 3.5 78 3.5
86 스리랑카 3.3 3.2 91 3.1
91 감비아 3.2 3.2 91 2.9
9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2 3.2 91 3.0
91 라이베리아 3.2 3.3 87 3.1
91 트리니다드토바고 3.2 3.6 73 3.6
95 알바니아 3.1 3.3 87 3.2
95 인도 3.1 3.3 87 3.4
95 키리바시 3.1 3.2 91 2.8
95 스와질란드 3.1 3.2 91 3.2
95 통가 3.1 3.0 101 3.0
100 아르헨티나 3.0 2.9 105 2.9
100 베냉 3.0 2.8 110 2.9
100 부르키나 파소 3.0 3.1 98 3.6
100 지부티 3.0 3.2 91 2.8
100 가봉 3.0 2.8 110 2.9
100 인도네시아 3.0 2.8 110 2.8
100 마다가스카르 3.0 2.6 123 3.0
100 말라위 3.0 3.4 85 3.3
100 멕시코 3.0 3.1 98 3.3
100 상투메 프린시페 3.0 3.0 101 2.8
100 수리남 3.0 신규
100 탄자니아 3.0 2.7 116 2.6
112 알제리 2.9 2.9 105 2.8
112 이집트 2.9 3.1 98 2.8
112 코소보 2.9 2.8 110 신규
112 몰도바 2.9 2.9 105 3.3
112 세네갈 2.9 2.9 105 3.0
112 베트남 2.9 2.7 116 2.7
118 볼리비아 2.8 2.8 110 2.7
118 말리 2.8 2.7 116 2.8
120 방글라데시 2.7 2.4 134 2.4
120 에콰도르 2.7 2.5 127 2.2
120 에티오피아 2.7 2.7 116 2.7
120 과테말라 2.7 3.2 91 3.4
120 이란 2.7 2.2 146 1.8
120 카자흐스탄 2.7 2.9 105 2.7
120 몽골 2.7 2.7 116 2.7
120 모잠비크 2.7 2.7 116 2.5
120 솔로몬제도 2.7 2.8 110 2.8
129 아르메니아 2.6 2.6 123 2.7
129 도미니카공화국 2.6 3.0 101 3.0
129 온두라스 2.6 2.4 134 2.5
129 필리핀 2.6 2.4 134 2.4
129 시리아 2.6 2.5 127 2.6
134 카메룬 2.5 2.2 146 2.2
134 에리트레아 2.5 2.6 123 2.6
134 가이아나 2.5 2.7 116 2.6
134 레바논 2.5 2.5 127 2.5
134 몰디브 2.5 2.3 143 2.5
134 니카라과 2.5 2.5 127 2.5
134 니제르 2.5 2.6 123 2.9
134 파키스탄 2.5 2.3 143 2.4
134 시에라리온 2.5 2.4 134 2.2
143 아제르바이잔 2.4 2.4 134 2.3
143 벨로루시 2.4 2.5 127 2.4
143 코모로 2.4 2.1 154 2.3
143 모리타니아 2.4 2.3 143 2.5
143 나이지리아 2.4 2.4 134 2.5
143 러시아 2.4 2.1 154 2.2
143 동티모르 2.4 2.5 127 2.2
143 토고 2.4 2.4 134 2.8
143 우간다 2.4 2.5 127 2.5
152 타지키스탄 2.3 2.1 154 2.0
152 우크라이나 2.3 2.4 134 2.2
154 중앙아프리카공화국 2.2 2.1 154 2.0
154 콩고공화국 2.2 2.1 154 1.9
154 코트디브아르 2.2 2.2 146 2.1
154 기니비사우 2.2 2.1 154 1.9
154 케냐 2.2 2.1 154 2.2
154 라오스 2.2 2.1 154 2.0
154 네팔 2.2 2.2 146 2.3
154 파푸아뉴기니 2.2 2.1 154 2.1
154 파라과이 2.2 2.2 146 2.1
154 짐바브웨 2.2 2.4 134 2.2
164 캄보디아 2.1 2.1 154 2.0
164 기니 2.1 2.0 164 1.8
164 키르기스스탄 2.1 2.0 164 1.9
164 예맨 2.1 2.2 146 2.1
168 앙골라 2.0 1.9 168 1.9
168 차드 2.0 1.7 171 1.6
168 콩고민주공화국 2.0 2.0 164 1.9
168 리비아 2.0 2.2 146 2.5
172 부룬디 1.9 1.8 170 1.8
172 적도 기니 1.9 1.9 168 1.8
172 베네수엘라 1.9 2.0 164 1.9
175 아이티 1.8 2.2 146 1.8
175 이라크 1.8 1.5 175 1.5
177 수단 1.6 1.6 172 1.5
177 투르크메니스탄 1.6 1.6 172 1.8
177 우즈베키스탄 1.6 1.6 172 1.7
180 아프가니스탄 1.5 1.4 176 1.3
180 미얀마 1.5 1.4 176 1.4
182 북한 1.0 신규
182 소말리아 1.0 1.1 178 1.1

OECD 국가 2011년 CPI 현황

순위 OECD순위 국가/영토 2011CPI 2010CPI 점수/순위 | 순위 OECD 순위 국가/영토 2011CPI 2010CPI 점수/순위
1 1 뉴질랜드 9.5 9.3 1 | 22 18 칠레 7.2 7.2 21
2 2 덴마크 9.4 9.3 1 | 24 19 미국 7.1 7.1 22
3 3 핀란드 9.4 9.2 4 | 25 20 프랑스 7.0 6.8 25
4 4 스웨덴 9.2 9.2 4 | 29 21 에스토니아 6.4 6.5 26
6 5 노르웨이 9.0 8.6 10 | 31 22 스페인 6.2 6.1 30
7 6 네덜란드 8.9 8.8 7 | 32 23 포르투갈 6.1 6.0 32
8 7 호주 8.8 8.7 8 | 35 24 슬로베니아 5.9 6.4 27
8 7 스위스 8.8 8.7 8 | 36 25 이스라엘 5.8 6.1 30
10 9 캐나다 8.7 8.9 6 | 41 26 폴란드 5.5 5.3 41
11 10 룩셈부르크 8.5 8.5 11 | 43 27 대한민국 5.4 5.4 39
13 11 아이슬란드 8.3 8.5 11 | 54 28 헝가리 4.6 4.7 50
14 12 독일 8.0 7.9 15 | 57 29 체코 4.4 4.6 53
15 12 일본 8.0 7.8 17 | 61 30 터키 4.2 4.4 56
16 14 오스트리아 7.8 7.9 15 | 66 31 슬로바키아 4.0 4.3 59
16 14 영국 7.8 7.6 20 | 69 32 이탈리아 3.9 3.9 67
19 16 벨기에 7.5 7.1 22 | 80 33 그리스 3.4 3.5 78
19 16 아일랜드 7.5 8.0 14 | 100 34 멕시코 3.0 3.1 87

한국투명성기구 개요
(사)한국투명성기구는 1999년 8월 24일 반부패 활동을 통하여 국민들의 의식을 개혁하고, 부정부패를 예방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사회전반의 부정부패를 없애고 맑고 정의로운 사회건설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민사회단체들이 함께 모여 ‘반부패국민연대’라는 이름의 비영리 비정부기구(NGO)로 출발하였다. 2005년에는단체명칭을 ‘한국투명성기구’로 변경하였습니다. 전국에 지역조직을 두고 있는 한국투명성기구는 그동안 주요 활동으로 반부패투명사회협약운동, 시민옴부즈만 사업, 법제와 정책의 개발과 연구ㆍ조사 사업, 교육ㆍ홍보 및 문화 사업, 국내외 관련 단체, 기관 등과의 연대 사업, 출판사업, 기타 우리 법인의 설립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사업 등이 있다. 한국투명성기구는 2000년부터 독일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투명성기구 한국본부의 역할을 하고 있다. 국제투명성기구는 전세계 100여개 국가에 지부를 두고 있는 국제NGO이다.

웹사이트: http://ti.or.kr

연락처

한국투명성기구
02-717-6211
사무처장 김성수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