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재정위기 관련 금융시장 동향 및 해외시각(12/2)

서울--(뉴스와이어)--국제금융시장
- 해외 주식 : 亞 주가는 美 고용지표 발표를 앞둔 경계감, 中 경기둔화 우려 등으로 혼조(△1.1~+0.5%)
- CDS 프리미엄 : 한국 및 亞 CDS는 보합세(△1~0bp)
- 환율 : 금주 급등에 따른 피로감 등으로 유로화는 보합, 원화는 약세. 엔화는 약보합

주요국 정책동향
- (EU)회원국들의 자국 내 은행 구제목적의 은행지원 규정을 완화하는 개정 가이드라인을 발표해 내년 1월부터 시행할 예정
- 이에 따라 은행들의 보증비용이 약 0.2% 감소할 것으로 예상
- (독일)메르켈 총리,12.2일 의회연설을 통해 EU조약 개정 및 ECB 개입 확대를 요구하는 정치적 압력에 대한 반론 예상(Bloomberg)
- (영국)킹 BOE 총재,6개 중앙은행들의 통화스왑 관련 조치는 긍정적이나 자금경색 완화 효과는 일시에 그칠 것이라고 발언
- (미국)상원,12.1일 이란 중앙은행에 대한 제재 법안을 만장일치로 가결.동 법안은 이란 석유산업에 대한 견제가 주요 목적
- (일본)정부,투자자들에게 대지진 복구 관련 재건채권(ReconstructionBond)매입을 호소.아즈미 장관도 백만엔 규모 직접 매입
- Nomura,BOJ가 10.31일 대규모 외환시장 개입 이후에도 11.1~10일간 총 1.5조엔 규모의 추가 개입을 실시했을 것으로 추정
- (태국)중앙은행 총재,11.30일 이미 금리를 인하했으나 홍수 피해를 극복하려는 차원에서 추가 통화완화 가능성을 시사
- (베트남)정부,12월 중 주식시장 장기발전 계획(2012-2020)을 발표할 계획.내년 초에는 주로 주식시장 개편에 주력할 예정
-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지난 3분기 중 외국인 자금이탈 규모는 약 85억달러.10월 대선 등으로 이탈 속도 증가

해외시각 및 시장반응
유럽 재정위기 불확실성 지속. ECB 역할확대 기대 증가
- 전일 스페인 국채입찰(37.5억유로)은 성공적이었지만 12월 종합대책 발표가 미진할 경우 재차 조달금리가 높아질 전망(UBS)
-12월 정치권에서는 ‘12년 재정편성 관련 논의에 비중을 둘 것으로 보여,위기대응 측면에서는 부진한 성과가 예상됨(SocGen)
- ECB 총재,유럽 정치권에서 재정연합 등 강화된 재정관리를 확약할 경우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음을 시사(UBS,IIF)
-ECB의 추가 통화완화/국채매입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되면서 “위험회피심리 확대→유로화 약세”현상 약화 예상(DeutscheBank)

미국-유럽 間 경기 비동조화(divergence) 심화(IIF)
- 유럽 경제,완만한(mild) 경기후퇴 가능성을 60%로,심각한(severe)경기후퇴 가능성을 40%로 예상(S&P)
- 유로존 위기로 인해 스웨덴 국채가 안전자산으로 부각(Bloomberg)
- 美경제지표(제조업,고용)들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것은 유럽 위기가 아직 美경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의미(OXAN)
- 예상에 비해 양호한 경제지표 등에 힘입어,현재까지 美경제가 유럽 재정위기의 영향을 상쇄하고 있음(DeutscheBank

'12년 亞 경기 둔화 예상. 韓 금리인하는 시기상조
- ‘12년에도 다수 잠재불안 요인들이 亞경제를 위협할 것.상당한 경기둔화(slowdown)가 예상되나 후퇴(recession)수준은 아님(BoA)
-‘11년,’12년 亞신흥국 GDP성장률 전망치 각각 +7.5%,+7.1%로 하향
- 11월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물가상승률이 반등한 것을 볼 때 한국은행의 금리인하는 아직 시기상조(BarclaysCapital)

국제금융센터 개요
국제금융센터는 99년 4월 1일 외환위기 재발 방지를 목적으로 정부와 한국은행 지원으로 설립된 이후 조기경보시스템(EWS) 운용, 24시간 시장감시, 각종 데이터와 정보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분석 등을 통해 정부의 위기관리능력 향상에 이바지해 왔습니다. 저희 센터가 생산한 각종 보고서와 자료는 청와대, 기획재정부, 금융위, 금감원, 한국은행 등 당국의 정책 수립시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은행, 증권 등 금융회사와 민간기업들의 국제금융 관련 위험관리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kcif.or.kr

연락처

국제금융센터 전략기획실
최사라
02-3705-6234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