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싱평, 에너지 업계의 중요한 외생변수 · 셰일가스의 영향과 투자사례 분석

서울--(뉴스와이어)--한국신용평가(www.kisrating.com)는 10월 21일 “에너지 업계의 중요한 외생변수, 셰일가스의 영향과 투자사례 분석 - 가스, 발전, 정유 등 에너지 업종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Special Report를 발표하였다.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 본격화로 천연가스 수급구조 변화 및 가격 하락

셰일가스 생산 본격화로 미국 천연가스 현물가격은 2008년 MMBtu 당 $8.8에서 2012년 $2.8로 하락하면서 아시아 및 유럽의 가스도입가격과 괴리가 커지고 있다. 아직까지 셰일가스 생산증가가 유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나, 장기적으로는 가스전 개발시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타이트오일 증가와 가스의 석유제품 대체로 유가안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절대적인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에너지가격 안정화와 에너지산업 활성화에 셰일가스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에너지공기업, LPG사, 민자발전사 등을 중심으로 셰일가스 투자 확대

인접국인 일본과 중국은 북미주의 셰일가스 투자에 적극적이다. 일본의 경우는 종합상사를 중심으로, 중국은 국영석유기업이 투자를 주로 하고 있으며, 셰일가스전뿐만 아니라 LNG터미널 지분투자도 활발한 편이다. 우리의 경우 석유공사와 가스공사가 셰일가스전에 투자하였으나, 투자성과는 아직 가시화되고 있지 않다. 또한 가스공사, LPG사 및 민간발전사 중심으로 셰일가스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LPG사, 민자발전사에게 기회요인, 정유사에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업종별로 보면 LPG사의 경우 셰일가스 생산시 산출되는 프로판을 도입함으로써 LPG 수입시 가격협상력과 가격경쟁력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프로판을 이용한 프로필렌 제조 등 신규사업 투자도 가시화되고 있다. 민자발전사의 경우 셰일가스 직도입으로 수익성 제고가 기대되며, 한전 화력발전자회사의 경우 셰일가스 생산 증가가 석탄가격 하락을 촉발시키고 있어 발전단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다. 다만, 정유사의 경우 납사 및 LPG 가격 하락에 따른 정제마진 저하 가능성이 있어, 정제설비의 대응 투자가 요구되고 있다.

셰일가스 투자, 미래의 먹거리 확보 차원에서 긍정적이나 투자위험이 수반

현 수준의 미국의 천연가스 가격 하에서 셰일가스전 투자가 이익을 창출하기는 어렵겠으나, 장기적으로는 천연가스 국내 직도입, LNG관련 전/후방사업 진출 등을 통해 투자수익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원전 추가건설이 용이하지 않은 상태에서 청정연료로 인식되는 LNG를 보다 저렴하게 도입할 수 있다면 LNG 매력도는 증가할 것이다. 당장의 신용위험에는 제한적이겠으나, 셰일가스 투자 및 도입계약과 관련한 가격변동 위험 등 투자위험에 대해서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다.

한국신용평가 개요
한국신용평가는 1985년 국내 최초의 신용평가전문기관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12월 Moody’s 계열사로 편입된 이후 Moody’s의 선진평가시스템 도입은 물론 Moody’s Global Network를 토대로 다양한 공동연구사업 수행 및 교류를 활발하게 추진해 왔다. 또한 2005년 9월 국내 신용평가사 중 최초로 윤리강령(Code of Conduct)을 선포한 이후 2006년 7월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 Code를 전적으로 수용한 평가강령(Code of Professional Conduct)을 도입하고 신용평가사로서 갖추어야 할 독립성/객관성/투명성/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 2007년 7월에는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적격외부신용평가기관(ECAI)으로 지정되어 Global Standard를 충족하는 신용평가기관으로서 공식 인정받기도 하였다.

웹사이트: http://www.kisrating.com

연락처

한국신용평가
IS실
김민정 주임
02-787-236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