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의원, “공업계 실업고 복합화시설 건설로 취업난 해소 가능”
■ 공업계 실업고등학교의 시설노후화, 취업난 심화 등 현상
현행 공업계 실업고등학교의 경우, 시설 노후화 및 첨단실습장비 확보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 일부 학교의 경우에는 안전시설 점검결과 D등급도 있는 것을 알고 있음. 또한, 공업계 실업고등학교로의 진학을 기피하고 있고, 졸업 후에 취업이 어려워지는데다, 공업계 실업고등학교 학생의 약 70%가 대학으로 진학하고 있는 실정. 이런 현상은 공업계 실업고등학교뿐만 아니라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과과정이 산업기술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데다 체계적이고 현장적응력이 높은 기술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기 때문.
서울시의 공업계 실업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주변에는 주차난이 심각하거나 공용체육시설 등 주민 편의시설의 부족, 인근지역에의 중소기업들은 전문기능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이공계 기피현상 및 취업난 심화에 대한 해결책 모색에 고심하고 있고, 학교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새로 건축하거나 신축해야 할 학교시설을 BTL 방식으로 추진하려고 하고 있음.
■ BTL 방식 + 공업계 실업고등학교의 복합화 시설도입 방안 모색할 필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공업계 실업고등학교의 경우, 시설의 노후화나 새로 건축하게 될 시설의 경우에 BTL 방식으로 추진하되 학교시설을 복합화하는 방법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음. 서울시 모 공업고등학교에 경우에는 학교건물을 신축하고 있는데, 신축하면서 주차장 시설만을 추가로 더 건축하고 있음. 학교부지 중 여유있는 부지를 복합화시설로 구축하면 토지이용의 효율화를 극대화할 수 있음. 따라서 공업계 실업고등학교의 경우 BTL 방식으로 학교건물을 신축할 때 학교여유 부지 또는 체육관시설에 복합화시설을 건설하여 학교교실과 첨단실습실, 산학협력 기업체(입주기업), 주민문화 공간 등이 함께 들어가는 복합화시설을 갖추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서울시교육청의 견해는 ?
웹사이트: http://www.manforyou.com
연락처
임태희의원실 02-788-2007, 02-784-0664
-
2006년 8월 23일 0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