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의원, “내진보강 안 된 교량에 대한 조속한 대책 마련돼야”

서울--(뉴스와이어)--지난해 12월 동남아시아에서 발생한 지진, 올해 미국을 강타한 카트리나 등 자연재해로 인해 해당 국가의 인명 및 국가 주요시설물에 대한 피해가 커지고 있음. 특히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일본 니가타 등 아시아권의 경우 지진대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대규모 지진으로 인한 수많은 인명 및 시설물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분류돼왔지만 확실한 안전지대는 아님.※ 1936년 쌍계사 지진, 1978년 홍성지진, 1996년 영월지진

만약 한반도에 지진이 발생할 경우 엄청난 사회적,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보이고, 특히 국가 주요시설인 고속도로에 미치는 피해는 실로 막대할 것으로 보임.

최근 건설되는 각종 구조물은 설계단계에서 내진을 고려, 튼튼한 구조물로 건설되고 있지만, 내진설계 기준이 정립되지 않은 1995년 이전에 건설된 구조물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임. 현재 고속도로 소재 5,825개의 전체 교량 중에서 '95년 이전에 건설된 1,660개교는 지진에 매우 취약한 상태임.

<도표1 내진설계 미반영 구조물 현황>
총교량수/기반영/미반영/비 고
5,8254,165(71.5%)/1,660(28.5%)/'95년 이전 미반영

지진발생으로 교량이 파괴될 경우 물류대란으로 초래될 경제적 손실과 인명사고는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는 매우 클 것이라 판단됨. 지진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신설되는 구조물을 튼튼하게 건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 구조물에 대한 내진 보강에도 많은 관심과 투자가 있어야 할 것임. 따라서 예기치 못한 지진발생 상황에 대비해 아직까지 내진보강 안 된 1,660개 교량에 대한 조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봄.

웹사이트: http://www.kdc2000.com

연락처

김동철의원실 02-788-269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