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유골 수습에 한국이 적극 협조한 기록 확인
1969년 일본인 군인, 군속의 유골 수집을 위한 일본 정부의 협조 요청에 대해 한국 외무부는 당시 보건사회부에 국내 일본인 유골 실태에 관하여 상세한 자료를 보내달라는 협조 공문을 발송했고 1971년 당시 보건사회부와 내무부는 제주도 북제주군과 남제주군, 경남 충무시와 거제군에 협조를 요청한 바 있는데 이것은 일본인 유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인도주의적으로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했다는 중요한 근거가 되어 주목된다.
제주도의 일본인 유골은 1945년(소화20년) 이 지역에 정박 중인 일본 징용선이 미군 잠수함의 어뢰공격을 받아 침몰하여 해안선에 밀려온 일본인 군인, 군속의 유골을 제주도 주민들이 가매장한 것이며, 경남 거제도와 충무의 일본인 유골은 각각 거제도 부근에서 미군 항공기에 의해 격침되어 조난된 유골과 충무 부근에서 조난당하여 임시매장 된 유골이었다.
당시 중앙정부(내무부,보건사회부)와 지방정부(제주도)간 교환된 문서를 보면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의 유골 조사 협조 요청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임했는가를 알 수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유골 조사 협조를 위한 업무 협조 경위는 다음과 같다.
1. 지방정부(제주도)는 중앙정부(보건사회부)의 유골조사 방안 보고 지시에 대해 실질적인 실태파악이 되도록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했다.
일본인 유골 실태 조사 위원회 구성
- 각 리, 동 별로 당해 위원회를 구성하여 위원장은 리,동장으로 하고 위원은 과거 일본인과 접촉이 많은 촌로 등으로 조직
여론 환기 및 신고
- 유무선 방송 및 신문 지상을 통하여 여론을 환기시키며 또한 일본인 유골에 대한 내역을 알고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각 리,동별 일본인 유골 실태를 조사 위원회 또는 읍면에 신고
2. 중앙정부(보건사회부,내무부)는 지방정부(제주도)에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지의 협조 공문을 보냈다.
- 일본인 유골 수집단을 위한 숙소 알선과 인부를 고용할 것
- 유골의 임시 안치소 및 유골 화장 계획 수립
- 자동차 또는 선박 대절 등 교통편 제공
- 수습단의 안전 보장
- 담당자는 사전에 매장지를 답사하고 유골 수집단이 도착 즉시 유골을 수집할 수 있도록 사전 조치할 것
- 공휴일에도 유골 수집에 지장이 없도록 특히 유의할 것
- 이미 파악된 유골을 재확인하고 철저히 관리할 것
- 유골 기수 또는 관리상 변동시 특별 취급하여 수시 보고할 것
- 도시 계획 등으로 유골 이장시 전항의 지시사항 철저 준수할 것
현재 한일 간에는 태평양전쟁시 일본에 강제동원되어 사망한 조선인 유골에 관한 협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3차 협의는 11월중 서울에서 가질 예정이다.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는 지난 9월28일 일본 동경에서 가진 제2차 유골 협의에서도 30여년전 우리 정부가 일본인 유골 문제 해결을 위해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이와 같이 협조한 사례를 일본측에 설명하고 강제징용 조선인 유골 문제 해결을 위해 일본 정부가 좀 더 적극적으로 협조해 줄 것을 요청했다.
웹사이트: http://www.gangje.go.kr
연락처
조사관 남상구 2100-8445~6
이 보도자료는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07년 2월 3일 11:23